강민국 "공공성·접근성 무시한 처사"
은행권 점포가 줄어들고 현금자동입출금기(ATM)마저 빠르게 철수되면서 금융 취약계층을 고려하지 않은 조치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4일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에 요청한 자료에 따르면 은행권에서 2018년부터 지난달 말까지 약 6년간 철수한 ATM은 총 1만4426개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보면 2018년 2102개, 2019년 2318개, 2020년 2770개, 2021년 2506개, 2022년 2424개, 지난해 1646개, 올해는 지난달 말까지 660개가 사라졌다.
ATM 감소세는 수도권에서 두드러졌다. 서울·경기에서 각각 4468개(31%)와 2847개(19.7%)가 철수되며 수도권에서만 총 7981개(55.3%)가 줄었다. 부산 또한 1179개(8.2%)가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8년부터 지난달 말까지 폐쇄된 은행권 영업지점 수는 1003개로 나타났다. 폐쇄 지점 수는 2020년~2022년 매년 200곳이 넘었다. 다만 지난해는 97개, 올해는 지난달 말까지 43개로 그 속도는 줄고 있다.
비판적 여론을 고려해 영업지점을 폐쇄하는 대신 출장소로 축소하는 사례도 늘었다. 2018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약 6년간 지점에서 출장소로 전환된 곳은 총 321개다. 전환 사례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로, 지점 75개(23.4%)가 출장소로 교체됐다. 출장소는 통상 예·적금 등 수신업무와 주택담보·신용대출 등 단순한 개인여신을 담당한다.
시중은행들이 ATM이나 영업지점을 없애는 건 업무 디지털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 풀이된다. 신한은행의 경우 지난해 기준 지점의 평균 운영비용은 24억5000만원에 이르는 반면 출장소는 별도 운영예산 없이 모점 운영비를 통합해 사용한다. 운영인력도 지점은 12.6명이지만 출장소는 3.1명에 그친다.
지금 뜨는 뉴스
강 의원은 “은행권이 적자경영이 아닌 상황에서도 지속적으로 점포를 폐쇄하고 ATM을 무더기로 철수한다는 건 은행이 지켜야 할 공공성과 고령층 등 금융소비자의 접근성을 무시한 처사”라며 “금융당국은 은행들이 점포 폐쇄 공동절차를 충실히 이행하는지 점검하고 은행들의 지역재투자를 평가할 때 점포 감소에 대한 감점 부과 폭을 확대해 불이익을 부여하는 등 방식으로 금융 접근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영주 기자 ang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