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국제회의산업 육성 기본계획 발표
장미란 "외국인 참가자 130만명 유치 목표"
주요 참가자에게 입국 우대심사대 이용 등 제공
정부가 한국판 다보스 포럼을 만들어 국제회의산업 중추 국가로 발돋움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8일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42회 국정 현안 관계 장관회의에서 '제5차 국제회의산업 육성 기본계획(2024~2028)'을 발표했다. 지난 3월 발표한 '마이스(MICE) 산업 미래 비전과 전략'을 토대로 민관협의체 논의를 거쳐 세부 추진과제 스물여섯 개를 마련했다. 2028년까지 구체화해 세계에서 가장 많은 국제회의를 열 계획이다.
장미란 차관은 "외국인 참가자 130만 명 유치와 외화획득액 30억 달러 달성이 목표"라며 "지자체, 민간과 협업해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가장 공을 들이는 정책은 지속이 가능한 지역 성장모델 창출이다. 지역 국제회의 전담 조직이 지역전략산업과 연계해 수준급 국제회의를 발굴하도록 지원한다. 문체부 관계자는 "최대 20년간 집중적으로 육성해 한국판 다보스 포럼으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시작은 국제회의 복합지구 제도 개편이다. 현행 국제회의산업법령은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 및 활성화 지원을 국제회의시설과 호텔, 쇼핑몰 등 연관 시설 집적화가 가능한 지역으로 한정한다. 문체부는 발전 가능성은 충분하나 법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지역을 구제하기 위해 '예비 국제회의 지구'를 신설한다. 더불어 '국제회의 광역권 협력체계'를 구축해 국제회의 유치와 개최 과정에서 인근 지역과 협업하도록 유도한다.
국제회의 유치에는 한국관광공사가 해외 지사에 마련한 관련 전담 조직망을 활용한다. 규모를 두 배로 키우고 전문성을 강화해 국제기구 본부 등에서 주도권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관광공사와 지자체, 지역 국제회의 조직, 업계가 함께하는 민관협의체를 운영해 대형 국제회의 위주로 가져올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제회의 주요 참가자들에게 입국 우대심사대 이용, K-컬처 체험 등 편의를 제공해 재방한을 이끌겠다"고 덧붙였다.
지금 뜨는 뉴스
문체부는 해외에 국제회의 전문 수출지원센터도 열여덟 곳 조성한다. 국제회의 기업의 현지 정착, 투자유치 등을 수요 맞춤형으로 뒷받침한다. 아울러 디지털 신기술을 개발·활용하는 국제회의 기술기업 열 곳을 선별해 육성하고, 이미 개발된 기술을 국제회의 행사에 적용하는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관광진흥법에 명시된 국제회의시설업 기준도 완화한다. 국제회의가 자주 열리는 호텔, 콘도미니엄 등 시설을 국제회의 시설업 대상에 넣을 계획이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