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블룸버그칼럼]도박꾼 佛마크롱, '킹메이커' 됐다

시계아이콘02분 22초 소요
뉴스듣기 글자크기

조기총선 깜짝 승부수를 던졌던 ‘상습 도박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정치무대에서 계속 남아 있을 수 있게 됐다.


7일(현지시간) 치러진 프랑스 총선 결선투표에서 유권자들은 ‘극우 정치인’ 마린 르펜 의원이 이끄는 극우정당 국민연합(RN)에는 단호하게 ‘아니오(non)’라고 외친 반면, 경쟁자인 좌파와 중도파에는 ‘어쩌면(maybe)’ 수준으로 망설이는 데 그쳤다.


마크롱 대통령은 좌파연합 신민중전선(NFP) 진영에 있는 녹색당과 사회당을 자신의 편으로 끌어오기 위해 영국 총선에서 승리한 키어 스타머 총리(노동당 대표)가 걸었던 길을 따르려 하고 있지만, 이는 쉽지 않을 것이다. 더 큰 위험은 유로존의 제2 경제권인 프랑스에서 정치 분열이 계속될 것이라는 점이다.

[블룸버그칼럼]도박꾼 佛마크롱, '킹메이커' 됐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이번 조기 총선은 그 자체로 넷플릭스 드라마 같았다. 그리고 결과 역시 흥미진진하다. 마크롱 대통령은 숙적인 르펜 의원이 의석수에서 뒤처진 것을 보며 특유의 만족스러운 눈짓을 보일지도 모른다. 마크롱 대통령의 중도진영 앙상블과 좌파연합 NFP가 총선 2차 투표를 앞두고 결성한 전술적 동맹은 반극우 연대인 이른바 ‘공화국 전선(Republican Front)’을 강화하는 데 분명한 효과를 나타냈다. 여기에 르펜 의원의 모호한 정책, RN 소속 일부 후보들의 경험 부족 역시 르펜 의원이 이끄는 극우정당이 더 많은 표를 얻지 못하도록 막는 효과로 이어졌다.


게임에서 현 순위를 보여주는 리더보드 상위를 살펴보면 상황은 훨씬 불명확하다. 마크롱 대통령의 중도파 블록은 이번 총선에서 NFP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나, 의회 과반인 289석에는 크게 못 미친다. 극우 RN 후보에 맞서 3위 후보가 사퇴하는 전술적 투표를 통해 의석 피해를 일부 막기는 했으나, 여전히 마크롱 대통령은 인기가 없다. 마크롱 대통령의 진영 내 사람들조차 그의 조기총선 결정 등에 배신감을 느끼고 있어 더 이상 개혁을 밀어붙일 정치적 자산조차 남아 있지 않은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크롱 대통령은 자신의 정치진영이 잠재적인 연립정부 파트너로서 게임에 남아 있을 수 있도록 했다. 프랑스 대표 극좌 정치인이자 불꽃 같은 선동가인 장뤼크 멜랑숑 굴복하지않는프랑스(LFI) 대표의 영향권에 있는 좌파연합은 최상의 시나리오에서도 의회 과반에 못 미치는 의석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총선에서 1위를 한 좌파연합 NFP는 멜랑숑 대표가 이끄는 LFI와 공산당·녹색당·사회당 등 4개당으로 구성됐다).


다시 말해 마크롱 대통령은 이제 왕(King)에서 킹메이커(Kingmaker)로 내려앉았다. 그리고 그는 이제 연립정부 구성을 위한 첫발을 내밀면서 우파진영보다는 좌파진영을 살필 가능성이 높다.


금융시장은 현재 어느 정당도 의회 과반을 차지하지 못한 만큼 비현실적이고 지출이 많은 정책이 시행되기 어렵다고 안심하고 있지만, 이러한 생각을 바꿔야 할지도 모른다. 초기만 해도 프랑스 극우파를 위한 조르자 멜로니(극우 성향의 이탈리아 총리) 시나리오로 보였던 것이 이제는 프랑스 극좌파를 위한 키어 스타머(이달 총선에서 승리하며 정권을 교체한 영국 총리) 시나리오가 될 수 있다.


앞서 좌파 성향이 뚜렷한 제러미 코빈 전 대표의 해임 후 영국 노동당의 선거 승리 가능성이 더 높아졌던 것처럼, 권력을 향한 NFP의 경로 역시 극좌 정치인인 멜랑숑 대표와 결별하고 좀더 중도 성향의 연정을 구성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마크롱 대통령의 중도 진영과 좌파연합 내 녹색당, 사회당의 의석을 합하면 의회 과반인 289석에 상당히 가까울 것이다.


중도좌파 정치인인 라피엘 글릭스만이 말했듯, 우리는 주피터(Jupiter·마크롱 대통령의 별명)에도 로베스피에르(Robespierre·프랑스 혁명 시대의 공포정치가)에도 해당하지 않는, 즉 마크롱 대통령도 멜랑숑 대표도 아닌 의회적 아크를 구축할 수 있다.


다만 이 모든 것은 위험이 존재한다. 스타머리즘(Starmerism·급진 좌파였던 노동당의 당색을 중도좌파로 바꾸며 영국 총선에서 승리한 키어 스타머 총리의 접근방식)을 성공적으로 모방한다고 해도, 노동당처럼 의회 다수당이 되진 못할 것이다.


어떤 연정이든 구성이 완료되기까지는 상당 시간이 걸린다. 프랑스는 5공화국 역사상 사실상 전례가 없는 수준의 정치적 분열로 취약해질 것이다. 프랑스의 재정적자는 급증하고 있고 경제 역시 유로존 평균 대비 낮은 성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세금 인상과 같은 어려운 결정이 불가피함을 시사한다. 또한 생산성, 혁신, 인구 감소 등과 같은 뿌리 깊은 문제들을 해결할 능력이 거의 없다는 뜻이기도 하다. 픽텟 에셋 매니지먼트의 크리스토퍼 뎀빅 전략가는 어떤 연정이 출범하든, 연금개혁부터 복지까지 마크롱표 개혁의 효과가 일부 반감되는 것이 불가피하다고 내다봤다.


현재로서는 유럽연합(EU)의 2대 경제 대국인 프랑스가 극우 포퓰리즘의 시대를 피하게 된 것에 대해 안도의 한숨을 쉬게 된다. 하지만 문제는 다음에 닥칠 일에 상당히 취약한 상태라는 점이다. 대통령 선거는 3년밖에 남지 않았다. 대선을 노리고 있는 르펜 의원은 야당의 심판대에서 마크롱 대통령을 계속 공격할 기회를 즐기고 있다. 프랑스로선 여전히 ‘정상’ 상태로 돌아가기엔 멀리 떨어져 있다.

[블룸버그칼럼]도박꾼 佛마크롱, '킹메이커' 됐다

라이오넬 로랑 블룸버그 오피니언 칼럼니스트


AD

이 글은 블룸버그의 칼럼 ‘Macron the Gambler Wins Chance to Play Kingmaker’를 아시아경제가 번역한 것입니다.


※이 칼럼은 아시아경제와 블룸버그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게재되었음을 알립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2306:50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2006:40
    ④ 유니콘 '탑승자' 아닌 '동반자', 캡스톤파트너스
    ④ 유니콘 '탑승자' 아닌 '동반자', 캡스톤파트너스

    편집자주편집자주 = 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 25.06.1906:52
    ③미래에셋벤처, 新정부 AI정책 최대 수혜주로 부상
    ③미래에셋벤처, 新정부 AI정책 최대 수혜주로 부상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1806:50
    ②유니콘 성장 이끈 LB인베스트먼트…AI 집중 투자
    ②유니콘 성장 이끈 LB인베스트먼트…AI 집중 투자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1706:50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①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①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SV인베스트먼트를 시작

  • 25.06.2407:00
    전문가 한목소리 "인사청문제도 이제는 바꿔야"
    전문가 한목소리 "인사청문제도 이제는 바꿔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2307:00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 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 25.06.2007:00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1907:00
    野일 땐 '강화' 與일 땐 '침묵'…개선 없는 인사청문회
    野일 땐 '강화' 與일 땐 '침묵'…개선 없는 인사청문회

    인사청문회 무용론이 수년째 반복되고 있지만 국회 차원에서의 개선 논의는 미미하다. 인사청문회 제도가 운영된 지난 25년 동안 200건이 넘는 개정안이 발의됐으나 통과된 것은 단 8건에 불과하다. 야당일 때는 인사청문회 제도 강화를 외치다가도, 여당이 되면 소극적으로 변하는 한국 정치 지형 탓이다. 검증보다는 흠집 내기에 치중하는 인사청문회가 지속되는 이유다. 19일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00년 6월 인사청문회법이

  • 25.06.1907:00
    사전검증 철저한 美…한국은 '고무줄' 잣대
    사전검증 철저한 美…한국은 '고무줄' 잣대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2308:55
    이언주 "이대로 가면 산업공동화 위기, 빨리 산업 전환 해야"
    이언주 "이대로 가면 산업공동화 위기, 빨리 산업 전환 해야"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지난 19일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AK라디오'에 출연했다. 3선 의원으로 '경제통'인 이 의원은 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 의원은 "지금 한국 경제는 추락 직전 낭떠러지에 있는 것과 같다"고 진단하며 "주력 산업을 빠르게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함부로 증세해서는 안 된다"면서 "민생회복지원금을 빨리 집행해야 한다. 물가 상승을 걱정할 때가 아니다

  • 25.06.2208:00
    추가파병으로 러와 밀착하는 北…中 부담느끼는 이유
    추가파병으로 러와 밀착하는 北…中 부담느끼는 이유

    북한이 러시아에 6000명 규모의 공병 부대를 추가로 파견하기로 하면서 동북아 정세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다. 이미 1만4000여명의 전투 부대를 파병한 상황에서 추가 파병이 이뤄지면 총 2만명 이상의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병된다. 국제사회가 대북제재 위반이라며 목소리를 높이는 가운데, 중국도 상당히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에 파견되는 북한 공병 부대는 전투보다는 점령지 방어에 집중할

  • 25.06.2109:00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이 이란을 대상으로 한 군사작전에 '라이징 라이언(Rising Lion·일어서는 사자)'이라는 작전명을 붙이면서 그 배경과 의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작전명은 구약성경 민수기 23장 24절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구절은 "백성이 암사자 수사자 같이 일어나서 잡힌 것을 먹고 죽은 것의 피를 마시기 전에는 눕지 않을 것이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자는 고대부터 이스라엘 왕국의 상징이었으며, 이번 작전명

  • 25.06.1506:00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관계가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취임 초기 '브로맨스'로 불릴 정도로 가까웠던 두 사람은 극심한 갈등을 거쳐 최근 다시 화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들의 관계 변화는 단순한 개인적 불화를 넘어 미국 정치와 산업계 전반에 큰 파장을 미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는 2024년 대선 당시 절정에 달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을 전적으로 지원하며 선거 승리에

  • 25.06.1408:00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학교를 겨냥한 전방위적 압박에 나서면서 전 세계 유학생들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문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버드대의 진보적 성향과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몇 주간 세 차례에 걸쳐 하버드 대학교 유학생 등록을 막고 비자 발급을 취소하려 했지만, 매번 미국 연방법원의 제동에 부딪혔다. 하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