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친구끼리 5만원씩 부어요"…외신이 주목한 한국 특유의 '신뢰문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NYT "특유의 교류와 신뢰 문화 기반" 분석

미국 외신이 한국의 계모임 문화를 집중 조명했다. 연합뉴스는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8일(현지시간) 삼삼오오 뜻이 맞는 사람들끼리 정기적으로 돈을 갹출해 모으는 '계모임'을 조명했다고 보도했다.


NYT는 계모임을 소리 나는 대로 ‘gyemoim’으로 적었다. 그러면서 영어로 ‘저축 그룹’(saving group)이라고 번역했다. NYT는 "한국에서는 친구들이 휴가와 식사, 기타 사교 활동을 위해 저축하는 계모임을 만드는 것이 일반적"이라고 언급하며, 한국에서 계모임하는 김모(32)씨와 이모(35)씨의 사례를 소개했다.


"친구끼리 5만원씩 부어요"…외신이 주목한 한국 특유의 '신뢰문화' (해당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AD

김씨는 전직 교사이자 주부로 2014년 한 모임에서 만난 두 친구와 계모임을 만들어 10여년 간 이어가고 있다. 이들은 10년간 300만원 이상을 모았고, 실제 지난해 가을 다 같이 부산의 리조트로 여행을 다녀왔다. 김씨 등은 "각자 업무와 가족 일로 바빴지만, 계모임 덕에 가까운 사이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고교 시절 친구들과 매달 5만원씩 내는 계모임을 하는 이씨 역시 계모임의 장점을 설명했다. 영어학원의 조교로 일하는 그는 "모은 돈을 일 년에 몇 번씩 만나 고기를 먹거나 치맥 모임을 하는 데 사용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처음에는 그냥 놀려고 모였는데 모두 일을 시작하면서 미래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게 됐다"며 "그래서 결혼식이나 장례식 등 인생의 중요한 행사를 할 때도 서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부연했다.


NYT는 한국 특유의 교류와 신뢰의 문화 덕분에 한국에서 계모임이 이어진다고 봤다. 이어 한국에서는 서울의 한 커피숍에 가서 가방, 노트북, 신용카드와 현금이 가득 든 지갑을 자리에 그대로 둔 채 화장실에 가도 된다"며 "(돌아왔을 때) 그 물건이 다 있을지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언급했다.


또 계모임 관행 덕분에 한국에는 관련한 계좌 상품도 있다고 전했다. 예금주가 친구들과 계좌를 공유할 수 있는 인터넷은행 카카오뱅크의 '모임 통장' 서비스 등이다. 신은철 카이스트 경영공학부 교수는 "앞서 한국에서는 마을에서 돈을 모으고, 물품을 구입하고, 수확물을 나눴다"면서 "사람들이 우정을 굳건히 유지하고 공동체를 단결시키는 수단으로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NYT는 한국 사회의 계모임이 미국에서는 변질될 수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매체는 "한국 사회에서 계모임을 잘 작동하게 하는 문화적 전통이 서구 문화에는 없다"며 "참여하는 사람들을 잘 알지 못한다면 (계모임과 같은) 공동 자금 운용은 (미국에선) 약간의 도박이 될 수 있다"고 했다.




김현정 기자 kimhj202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