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9·레드백·천궁-II 보유국 韓…'수십조 돈방석' 앉은 기업들[K-방산 신화](상)

시계아이콘02분 4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국내 방산 4사 공시 분기보고서 분석
수주잔고·영업이익 최고치 기록 약진
수출 지속땐 분야별 1위 석권도 눈앞

K-방위산업이 승승장구하고 있다. 2023년 방산 수출액은 약 130억달러다. 2022년(173억달러)보다 43억달러 줄어들었다. 하지만 수출대상국은 12개국, 주요 수출 무기체계는 12개로 2022년(4개국·6개)보다 늘었다. 2027년 방산 수출 4강 진입을 위한 초석을 닦았다는 평가다. 올해 수출 목표는 200억달러다. 달성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방산기업들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과 수주잔고가 희망적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루마니아 수출도 사실상 확정됐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지난 17일 루마니아를 방문해 ‘K-방산’ 수출 계약서를 체결을 발표할 예정이었다. 수출량만 K9 자주포 54문, K10 탄약 운반차 36대(1조4000억원)와 휴대용 지대공 유도무기 신궁 54기(1230억원)다. 하지만 루마니아 정부의 최종심사가 남아 있어 이르면 계약발표가 내달 초로 미뤄질 것으로 보인다.


공시를 분석한 결과 실적 면에서 눈에 띄는 기업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이다. 지난달 국내 방산 4사가 공시한 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방산 부문 1분기 수주잔고는 총 77조2838억원이다. 영업이익도 좋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올해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2062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동기(829억원)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난 액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폴란드, 호주 등과 잇달아 대규모 수출 계약을 맺었다. 올해 폴란드에 K9을 60문 이상, 천무를 30대 이상 인도할 예정이다. 폴란드 정부 관계자들이 지난 4월 방산업체 공장을 방문했기에 K239 천무, K2 전차의 추가 수출도 기대된다. 미래에셋증권은 영국 군사정보기업 제인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주포 분야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가 2032년 세계 방산시장에서 63.8%를 점유할 것으로 내다봤다. 50% 이상 점유한다면 세계 1위다.


K-9·레드백·천궁-II 보유국 韓…'수십조 돈방석' 앉은 기업들[K-방산 신화](상)
AD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지 맞춤형 수출전략’ 적중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수출은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기획·설계·공급 체계를 최적화한 ‘K-방산 수출시스템’의 첫 성공 사례로 꼽힌다. 호주에 레드백을 수출한 것이 대표적이다. 레드백은 유럽 장비와 겨룬 끝에 호주의 차기 장갑차로 낙점받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내년 하반기 완공을 목표로, 현재 호주 빅토리아주 질롱시에 한화장갑차첨단센터(H-ACE)를 건설하고 있다. 이곳에서 레드백 129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인력은 물론 철강 등 원자재와 주요 부품도 상당 부분 현지에서 조달하는, ‘현지 맞춤형 수출전략’을 폈다.


수출 규모도 크다. 129대는 금액으로 치면 24억달러(3조1500억원)다. 호주 육군의 역대 무기 도입 사업 중 최대 규모다. 이번 수주로 레드백은 K-9 자주포에 이어 국내 방산업체가 두 번째로 호주에 수출하는 지상 장비가 됐다. K-방산이 오커스(AUKUS·미국 영국 호주 안보 동맹) 선진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했다는 의미도 있다.

현대로템, 폴란드 현지 생산 추진

지상무기 수출에는 현대로템도 한몫했다. 현대로템의 방산 부문 올 1분기 수주잔고는 6조9091억원이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672억원에서 올 2분기 806억원으로 19.9% 증가했다. 1분기 수주잔고는 전년도 하반기부터 달성한 해외 수주 성과가 반영된다. 현대로템 역시 올해 1분기에 폴란드에 K2 전차 18대를 납품하면서 매출이 늘었다. 2분기 이후에도 폴란드에 전차 납품이 지속하면서 수주잔고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K-9·레드백·천궁-II 보유국 韓…'수십조 돈방석' 앉은 기업들[K-방산 신화](상) [이미지출처=연합뉴스]

현대로템은 폴란드 맞춤형 K2PL 모델도 개발해 현지에서 생산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런 추세라면 세계 전차 시장에서 K-2 전차 점유율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현대로템의 K-2는 2032년이 되면 점유율 19.2%로 2위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에이브럼스 전차를 제조하는 제너럴다이내믹스에 이은 성과다. 남미 시장에서도 성과는 이어진다. 현대로템은 올해 페루에 차륜형 장갑차 K808 ‘백호’ 30대를 수출하는 계약을 맺었다. 현대로템 차륜형 장갑차의 첫 수출이자 국산 전투 장갑차량이 중남미에 진출한 최초 사례다.

LIG넥스원, 2032년 방어 미사일 분야 세계 1위 전망

미사일 분야에선 LIG넥스원이 독보적이다. LIG넥스원의 1분기 수주잔고는 19조2876억원이다.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55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동기(402억 원)에 비해 36.8% 늘었다. LIG넥스원은 앞서 지난해 11월 사우디아라비아와 4조원대 규모의 천궁-Ⅱ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중동 정세 불안이 고조되면서 사우디는 추가 구매를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LIG넥스원은 지난해 루마니아 국영 방산기업인 롬암과 대공미사일 분야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루마니아에도 천궁-Ⅱ를 수출할 가능성이 크다. 앞으로 신궁·천궁-Ⅱ(루마니아), 비궁(미국), 천궁-Ⅱ 2차(사우디아라비아) 등 수출도 계속 이어질 예정이다. L-SAM, LAMD, 함대공유도탄-Ⅱ 등 차기 제품도 개발하고 있어서 장기 수주가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런 추세라면 천궁-Ⅱ가 2032년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분야에서 27.5%의 시장 점유율로 세계 1위를 차지할 수 있다고 미래에셋증권은 전망했다. 미국의 패트리엇 미사일 점유율 24.9%(2위), 러시아 S-400 20.6%(3위)보다 앞선 수치다.

카이, 다목적수송기·6세대 전투기 등 차세대 사업 도전

항공 분야에선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선두주자다. 올해 1분기 수주잔고는 21조2718억원이다. 올해 2분기 550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전쟁으로 인해 유럽과 중동 국가들을 중심으로 무기체계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KAI는 2011년 국산 초음속 고등훈련기 T-50을 인도네시아에 수출했다. 첫 수출이었지만 4억달러 상당에 달해 ‘K-방산’ 수출의 신호탄이 됐다.


이후 KAI는 88억달러 상당의 항공기 220여대를 해외에 수출했다. 2022년에는 폴란드와 FA-50 48대 수출 계약을 맺었다. 지난해에는 FA-50 18대를 말레이시아에 수출하기도 했다. 올해도 FA-50 추가 수출과 수리온 수주 계약이 예상된다.


KAI는 미래 먹거리도 개발하고 있다. 국산 다목적 수송기다. 프로젝트명은 ‘MC-X’다. 카이는 국내에서는 100여대가, 해외에는 800여대의 수송기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KAI는 경전투기 분야에서 FA-50이 2032년에 10.0%의 점유율로 2위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록히드마틴의 F-16(25.1%)을 추격한다는 목표다.


전문가들은 K-방산 수출 수주잔고와 영업이익 상승에 대한 준비된 계획과 국제정세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평가했다.


AD

안상남 방산진흥회 방산진흥본부장은 “시설·인력·생산기술 삼박자를 갖춘 가운데 우크라이나 전쟁 등 국제정세와 맞아떨어져 국내 방산 수출이 늘어났다”면서 “재래식 무기에 이은 차세대 먹거리 무기체계를 개발해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방산업계 한 관계자는 "외교 안보 상황이 변하면서 우리나라에 방산 수출의 틈새시장이 활짝 열리고 있다"며 “방산 수출 성과를 지속하기 위해서 장기적인 목표와 정책을 세울 때가 됐다”고 말했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2306:50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⑤'1호 VC' 아주IB투자, 올해 바이오 회수 눈길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2006:40
    ④ 유니콘 '탑승자' 아닌 '동반자', 캡스톤파트너스
    ④ 유니콘 '탑승자' 아닌 '동반자', 캡스톤파트너스

    편집자주편집자주 = 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 25.06.1906:52
    ③미래에셋벤처, 新정부 AI정책 최대 수혜주로 부상
    ③미래에셋벤처, 新정부 AI정책 최대 수혜주로 부상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1806:50
    ②유니콘 성장 이끈 LB인베스트먼트…AI 집중 투자
    ②유니콘 성장 이끈 LB인베스트먼트…AI 집중 투자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 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주요 상장 VC들의 강점

  • 25.06.1706:50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①
    BTS 데뷔 전 하이브에 40억 투자 '1080억' 회수한 SV인베…또 대박 날까①

    편집자주이재명 정부는 적극적인 벤처 육성 의지를 보이고 있다. 대대적인 규제 완화와 예산 확대가 예상된다. 벤처캐피털(VC)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이 향후 벤처 육성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상장 VC들에 관심이 쏠린다. 이들 상장 VC는 앞서 벤처 예산이 급증했던 2021년에 일제히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은 바 있다. 이에 아시아경제는 SV인베스트먼트를 시작

  • 25.06.2307:00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윤상현 "국가 백년대계 걸린 청문회, 초당적 개혁 나서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2007:00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정성호 "최고의 에이스가 국정운영 참여할 수 있게 해야"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1907:00
    野일 땐 '강화' 與일 땐 '침묵'…개선 없는 인사청문회
    野일 땐 '강화' 與일 땐 '침묵'…개선 없는 인사청문회

    인사청문회 무용론이 수년째 반복되고 있지만 국회 차원에서의 개선 논의는 미미하다. 인사청문회 제도가 운영된 지난 25년 동안 200건이 넘는 개정안이 발의됐으나 통과된 것은 단 8건에 불과하다. 야당일 때는 인사청문회 제도 강화를 외치다가도, 여당이 되면 소극적으로 변하는 한국 정치 지형 탓이다. 검증보다는 흠집 내기에 치중하는 인사청문회가 지속되는 이유다. 19일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00년 6월 인사청문회법이

  • 25.06.1907:00
    사전검증 철저한 美…한국은 '고무줄' 잣대
    사전검증 철저한 美…한국은 '고무줄' 잣대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1807:00
    능력 제쳐두고 후보자 흠결만 찾아... 인사청문회 공포만 키워
    능력 제쳐두고 후보자 흠결만 찾아... 인사청문회 공포만 키워

    편집자주인재를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은 국가운영의 성패와 직결한다.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괜히 나온 얘기가 아니다. 문제는 인재를 쓰고 싶어도 쓰기 어려운 현실이다. 인재를 찾아내 중요한 역할을 맡겨 보려 해도 본인이 고사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직자 검증을 위해 마련된 제도가 인재 등용을 차단하고 있는 현실과 무관하지 않다. 사생활 검증이 역량 검증에 우선해서는 곤란하다. 공직자 본인은 물론이고, 배우자와 자

  • 25.06.2308:55
    이언주 "이대로 가면 산업공동화 위기, 빨리 산업 전환 해야"
    이언주 "이대로 가면 산업공동화 위기, 빨리 산업 전환 해야"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지난 19일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AK라디오'에 출연했다. 3선 의원으로 '경제통'인 이 의원은 민주당 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 의원은 "지금 한국 경제는 추락 직전 낭떠러지에 있는 것과 같다"고 진단하며 "주력 산업을 빠르게 재구조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함부로 증세해서는 안 된다"면서 "민생회복지원금을 빨리 집행해야 한다. 물가 상승을 걱정할 때가 아니다

  • 25.06.2208:00
    추가파병으로 러와 밀착하는 北…中 부담느끼는 이유
    추가파병으로 러와 밀착하는 北…中 부담느끼는 이유

    북한이 러시아에 6000명 규모의 공병 부대를 추가로 파견하기로 하면서 동북아 정세에 새로운 변수가 등장했다. 이미 1만4000여명의 전투 부대를 파병한 상황에서 추가 파병이 이뤄지면 총 2만명 이상의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병된다. 국제사회가 대북제재 위반이라며 목소리를 높이는 가운데, 중국도 상당히 불편한 기색을 내비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에 파견되는 북한 공병 부대는 전투보다는 점령지 방어에 집중할

  • 25.06.2109:00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의 이란 타격, '라이징 라이언' 작전…北 긴장시킨 이유

    이스라엘이 이란을 대상으로 한 군사작전에 '라이징 라이언(Rising Lion·일어서는 사자)'이라는 작전명을 붙이면서 그 배경과 의미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작전명은 구약성경 민수기 23장 24절에서 따온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구절은 "백성이 암사자 수사자 같이 일어나서 잡힌 것을 먹고 죽은 것의 피를 마시기 전에는 눕지 않을 것이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다. 사자는 고대부터 이스라엘 왕국의 상징이었으며, 이번 작전명

  • 25.06.1506:00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관계가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취임 초기 '브로맨스'로 불릴 정도로 가까웠던 두 사람은 극심한 갈등을 거쳐 최근 다시 화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들의 관계 변화는 단순한 개인적 불화를 넘어 미국 정치와 산업계 전반에 큰 파장을 미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는 2024년 대선 당시 절정에 달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을 전적으로 지원하며 선거 승리에

  • 25.06.1408:00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학교를 겨냥한 전방위적 압박에 나서면서 전 세계 유학생들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문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버드대의 진보적 성향과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몇 주간 세 차례에 걸쳐 하버드 대학교 유학생 등록을 막고 비자 발급을 취소하려 했지만, 매번 미국 연방법원의 제동에 부딪혔다. 하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