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들고 위험한 일 도와 직원 근로 환경 개선
고객들에게 색다른 외식 경험 선사 하기도
2019년 업계 최초로 면조리 로봇 도입 후
빕스·제일제면소 등 30개 매장 서빙로봇도
CJ푸드빌은 빕스, 제일제면소 등 외식 브랜드 매장들에 조리, 서빙, 전화 등 각종 서비스 로봇들을 도입해 ‘디지털 전환(DX)’에 드라이브 걸고 있다. 로봇 도입을 통해 단순 반복 업무나 위험하고 힘든 일은 로봇이 분담해 직원들의 근로 환경을 개선해줄 뿐 아니라 고객들에게 색다른 외식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9일 외식업계에 따르면 CJ푸드빌은 2019년 12월 국내 외식업계 최초로 ‘면 조리 로봇’을 빕스 서울 강서구 등촌점에서 선보인 이후 현재 전국 총 27개 빕스 매장으로 확대 도입해 운영하고 있다.
빕스의 면 조리 로봇은 고객이 국수 코너에서 원하는 재료를 그릇에 담아 로봇에게 건네면 뜨거운 물에 국수 재료를 데치고, 육수를 부어 1분만에 요리를 완성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로봇이 실제 요리사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요리사의 움직임을 세밀히 연구해 개발한 ‘모션제어’ 기술과 다양한 형태의 조리기구를 조리 순서에 맞춰 자동으로 바꿔 끼워 떨어트리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스마트 툴 체인저’ 기술 등이 적용됐다.
뜨거운 불 앞에서 장시간 서서 국수를 조리하는 업무는 화상의 위험이 높고 여러 고객의 메뉴를 동시에 조리하는 게 어려운 편이라 직원들이 통상 가장 기피하는 업무 중 하나였다. 이런 업무를 로봇이 대신하게 돼 직원들의 근로 환경 개선 만족도가 높다는 게 CJ푸드빌 측의 설명이다.
CJ푸드빌은 빕스, 제일제면소 등 30여 개 매장에서 서빙 로봇도 운영하고 있다. 서빙 로봇은 실내 지능형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돼 직원이 로봇 터치 패널에 테이블 번호를 입력하면 고객을 좌석까지 안내한다. 또 고객이 접시 치우기를 희망할 경우 테이블에서 벨을 누르면 고객이 있는 테이블로 되돌아가 빈 그릇을 주방까지 운반한다. 3D 카메라와 초음파 센서가 있어 이동 시 테이블 간 좁은 사이를 순조롭게 이동하며 장애물을 피하거나 멈춰 설 수 있다.
지난해 1월부터는 빕스, 더플레이스, 제일제면소 등 30여개 매장에 AI(인공지능) 전화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현재 매장에 걸려 오는 전화의 약 70%를 AI가 응대하고 있는데, 특히 바쁜 식사 시간대에 매장에서 홀 서빙을 하느라 고객들의 예약·문의 전화를 놓치는 횟수가 크게 줄었다는 설명이다.
지금 뜨는 뉴스
CJ푸드빌 관계자는 “서비스 로봇 도입을 통해 위험하거나 반복적인 업무에 대한 직원들의 부담을 덜어주니 그만큼 고객을 직접 응대하는 데에 더 집중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면서 “고객들도 더욱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즐길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로봇 경험을 선호하시고 즐기시는 것 같다”고 말했다.
문혜원 기자 hmoon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