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옥행 고속도로 탔다” … 30년 후엔 여름철 북극해 얼음 못봐

시계아이콘01분 06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국제 지구빙하권 기후 이니셔티브, 빙하권 상태 2022 발표
“탄소중립 달성해도 바다 얼음 100년간 계속 녹아”

“지옥행 고속도로 탔다” … 30년 후엔 여름철 북극해 얼음 못봐
AD

[아시아경제 박현주 기자]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30년 후에는 북극해에서 여름철 얼음을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7일(현지시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국제 지구빙하권 기후 이니셔티브(ICCI)는 이집트에서 열린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7)에서 극지 상태를 분석한 최신 보고서 '빙하권 상태 2022'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빙하·해빙·동토 등으로 이뤄진 전 세계 빙권이 지구 온난화로 빠르게 녹고 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매년 여름 북극해를 떠다니던 해빙은 2050년까지 확실히 사라질 것이라는 사실상의 시한부 선고가 나온 셈이다.


보고서 공동저자이자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에서 해빙을 연구하는 로비 말렛은 "더는 (지구 온도 상승을) 섭씨 1.5도 아래로 유지할 수 없듯 (북극해에) 얼음이 없는 여름을 피할 길이 없다"며 "COP27 회의가 북극의 여름철 바다 얼음을 보존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그는 "북극 해빙 면적이 줄어들 경우 바람과 파도가 강해져 침식이 증가해 450만명 이상이 사는 지역이 심각한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과학자들은 기후변화 추세를 바꾸기 위해선 2050년까지 탄소중립 상태에 도달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를 위해선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05년 대비 절반으로 줄여야 한다.


하지만 보고서는 탄소중립 목표가 달성되더라도 빙권이 안정될 때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빙하가 2200년까지 계속 녹을 것이라고 봤다. 북극의 바다 얼음이 다시 형성되기 시작하려면 산업화 전 대비 지구 온도 상승이 섭씨 1도 정도에 그쳐야 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해양 온난화로 수백∼수천년간 일부 빙하 손실이 지속될 수 있지만 해수면 상승이 3m를 넘지는 않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한편 COP27 정상회의에서도 기후 위기에 신속히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7일 연설에서 "지구는 기후변화가 초래한 회복 불가능한 혼란의 정점으로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은) 기후 지옥행 고속도로에서 가속 페달을 밟고 있는 것과 같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선진국들이 개발 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전환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협정을 하루빨리 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미국과 중국이 이 협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우리는 이 연대 협정을 맺든지 아니면 집단 파멸의 길로 가든지 선택해야 할 시점"이라고 촉구했다.




박현주 기자 phj0325@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