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정보원, 개인신용정보 관리 앱 PDS 개발 마무리
은행, 보험, 통신사 등 개인신용정보 직접 관리 가능
요금납부, 보험 가입 정보 직접 내려 받고 전송

[아시아경제 이민우 기자] 은행 거래내역, 이동통신 요금 납부내역 등 개인 신용정보를 한 번에 직접 내려받을 수 있는 개인데이터저장소(PDS) 애플리케이션(앱)이 조만간 등장한다. 신용정보의 요청 뿐만 아니라 삭제, 기관 간 전송 등도 모두 관리할 수 있어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의 기본 취지인 ‘데이터 주권’ 확보에 한 발 더 다가설 수 있을 전망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마이데이터 총괄 지원기관이자 중계기관인 한국신용정보원은 이 같은 ‘마이PDS’ 앱 개발을 최근 마무리 짓고 공개 시기를 금융위원회와 조율 중이다. 당초 올해 2분기 출시 예정이었지만 세부 일정을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마이PDS는 올해 시작한 마이데이터 사업에 맞춰 본격적으로 자신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PDS는 일종의 개인신용정보 저장 공간이다. 정보주체가 본인의 정보를 안전하고 체계적으로 저장, 전송, 삭제요구 등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인 셈이다. 개인이 원하는 정보를 은행, 보험사 등에 요구하면 이들이 고객 PDS에 전송하고 고객은 PDS를 통해 정보를 보내거나 받는 등 관리할 수 있는 식이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통신요금 납부 정보, 보험 가입 현황, 은행 거래 내역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개별 기업에 일일이 요청해야 했다. 하지만 이제는 PDS 앱을 통해 간편하게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개인의 신용도와 신용거래능력 등을 판단할 수 있는 개인신용정보를 취급하는 기업, 기관이면 모두 대상이 된다.
보안도 강화된다. 기존에는 이메일 등으로 제공돼 단순 로그인 등 본인 인증 절차가 엄격하지 않았지만 PDS앱에서는 보다 확실한 본인인증이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본인인증된 PDS에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타인에게 오전송 우려도 줄었다.
기업·기관 간 정보의 전송도 더욱 자유롭고 정확해질 전망이다. 보험 가입 정보의 경우 기존에도 보험사들이 고객의 타사 보험 가입 내역을 취합할 수 있었지만 이는 화면 상의 정보를 그대로 긁어오는 ‘스크래핑’ 형태였다. 홈페이지의 디자인이 바뀌거나 항목 위치가 바뀔 경우 정보 정확도가 떨어졌다. 하지만 이제 PDS로 정보 원본이 표준화된 형식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정보 누락 등의 우려가 훨씬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 뜨는 뉴스
PDS는 금융 뿐 아니라 의료, 통신, 유통 등 다양한 산업에서 수용될 수 있는만큼 개인의 정보 주권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금도 여러 사업자의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각종 금융 정보를 확인할 수 있지만 각 사업자의 서비스에 가입해야 했다. 이용자들은 개별 기관이나 기업에 정보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선택지 밖에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PDS를 활용하면 자신만의 정보 저장공간에 스스로 정보를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