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수원 사전투표소서 1장 부족
투표함 인계 이후 뒤늦게 인지해
전국 곳곳서 전례 없는 혼란 속출
사망자로 등록돼 투표 못한 경우도
[아시아경제 조성필 기자] 제20대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가 진행된 경기 수원시의 한 사전투표소에서 투표용지 수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실제 교부 수보다 1장이 부족한 사실이 확인돼 혼란을 빚은 것으로 6일 알려졌다. 사라진 투표용지에 대해 분실 처리하는 방안이 검토됐으나, 이후 선거관리위원회 측 조사 결과 무효처리된 용지였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사태는 일단락됐다.
아시아경제 취재를 종합하면 20대 대선 사전투표가 끝난 전날 수원 광교신도시 광교2동 행정복지센터 4층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서는 투표용지가 교부 수보다 1장이 부족한 사실을 확인했다. 영통구선거관리위원회 측은 사전투표 마감 이후 관외투표함을 관할 우체국으로 인계, 개함을 하고 나서야 이 같은 차이를 인지했다고 한다. 이 일로 선관위 측은 투표용지 교부 수와 회송용 봉투 수를 수차례 다시 확인하는 작업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현장에선 사라진 투표용지 1장에 대해 분실 처리하는 방안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한다. 하지만 이후 선관위 조사 결과, 사라진 1장은 무효처리된 투표용지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선관위 측은 "한 관외 유권자의 부주의로 투표용지가 찢겨졌고, 재발급 사유가 안 돼 무효 처리됐다"며 "실제 교부 수와 회송용 봉투 수에서 1장 차이가 발생한 건 이 일에서 비롯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4일부터 이틀간 전국 각지에서 진행된 사전투표에선 혼란이 속출했다. 특히 코로나19 확진·격리 유권자는 자신의 기표 용지를 곧바로 투표함에 넣는 게 아니라, 선거관리원이 운반용 봉투에 모아서 투표함으로 옮기다 보니 분실 우려가 제기되기도 했다. 선관위 측은 "확진자와 동선 분리를 위해 어쩔 수 없는 조치"라고 해명했지만, 유권자들 사이에선 준비 부족과 절차 미흡을 지적하는 불만 목소리가 이어졌다.
전국 곳곳에 설치된 사전투표소에선 이 밖에도 부실한 투표 관리로 전례 없는 혼란이 잇따랐다. 수원 영통구 영통3동 행정복지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에선 살아있는 유권자가 전산상 사망자로 등록돼 있어 사전투표를 못 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선관위 측은 "지자체에서 작성된 선거인 명부를 받고 (우리는) 투표소 관리만 한다"며 "전산 오류로 해당 지자체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선관위 측은 이후 "지자체에서 선거인 명부 오기상황 수정 통보를 문서로 제출, 해당 유권자는 오후 늦게 투표를 하고 갔다"고 부연했다.
대구 수성구 만촌1동 투표소에서는 확진자 투표 후 투표 용지를 봉투에 넣어 옮기게 하는 과정에서 봉투 안에 이미 기표된 투표지가 들어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서울 은평구 신사1동 투표소에서 같은 상황이 발생했다. 또 대구 중구 대봉1동 투표소에서도 투표소 참관인이 "오전 투표자 수를 눈으로 확인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가 이를 불허한 선관위 담당자를 공무집행방해죄로 고소하기도 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사전투표 부실 관리 논란과 관련해 "전날 실시된 코로나19 확진 선거인의 사전투표에 불편을 드려 매우 안타깝고 송구하다"고 밝혔다. 선관위는 "드러난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면밀히 검토해 선거일에는 국민이 안심하고 투표할 수 있도록 조속히 대책을 마련하겠다"면서도 "이번에 실시한 임시 기표소 투표 방법은 법과 규정에 따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