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IMF도 '헝다사태' 리스크 점검…허장 이사 "中정부, 적기 대응해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美워싱턴 현지 인터뷰

IMF도 '헝다사태' 리스크 점검…허장 이사 "中정부, 적기 대응해야" 허장 국제통화기금(IMF) 상임이사가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인터뷰를 갖고 있다.
AD

[워싱턴(미국)=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중국 당국이 '헝다 사태'의 상황 악화를 막기 위한 정책수단을 갖고 있을 것으로 평가합니다. 다만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너무 빨리 개입하면 향후 이런 사태가 반복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반대로 개입이 너무 늦어질 경우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인지해야 합니다."


허장 국제통화기금(IMF) 상임이사는 1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최근 글로벌 금융시장의 악재로 떠오른 이른바 '헝다 사태'에 대해 "중국 정부가 적절한 시점과 규모를 판단해 대응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중국 최대 민간 부동산 개발회사 '헝다그룹'이 파산 위기에 내몰리면서 신흥국을 비롯한 국제금융시장 전반에 충격을 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퍼지고 있다. 각국 대표 24명으로 구성된 IMF 이사회에서도 이번 헝다 사태에 대한 우려 목소리가 일부 이사들에 의해 제기됐다고 한다.


허 상임이사는 "지금까지 헝다그룹 사태가 중국 부동산 개발업계나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며 과도한 위기론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중국 기업의 부채는 대부분 위안화 부채로, 이들 기업의 부채를 떠안고 있는 은행들의 상당 지분을 결국 중국 정부가 보유하고 있다는 점이 그 근거다. 중국 정부의 정책적 개입으로 충분히 통제 가능한 상황이라는 판단이다.


다만 허 상임이사는 "만약 금융시장 전반의 위험으로 확대될 경우 중국 경제·금융시장 뿐만 아니라 국제금융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신중론을 펼쳤다. 그는 "은행들의 헝다그룹 직접 익스포저(위험노출)는 제한적이나, 부동산개발 분야 전반으로 불안이 확대될 경우 관련된 다양한 금융기관의 위험이 높아질 수 있고 이는 중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것"이라며 "중국 경제가 위축되고 금융여건이 악화될 경우, 글로벌 투자 심리가 위축돼 신흥국 경제의 금융여건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관련해 IMF가 이날 발표한 '세계금융안정보고서'에 헝다그룹 관련 리스크를 점검한 내용이 별도로 포함됐다.


한편 허 이사는 한국 재정운용 상황과 관련해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국가부채의 큰 폭 증가에도 불구 다른 나라에 비해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이라고 평가하면서도 "향후 고령화 등에 대비해 체계적인 재정안전성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회에 계류 중인 '재정준칙' 도입 법안에 대해 "정부안을 토대로 국회, 학계 등 의견을 폭넓게 수렴해 최종안이 도출될 것을 기대한다"고 촉구하면서 "그간 신용평가사들이 재정준칙 도입에 보여 온 관심과 기대를 고려하면 법제화 지연시 한국의 재정건전성 제고 노력에 대한 신뢰성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한국 정부의 물가안정 노력에도 불구, 물가인상률이 2%대 중반의 높은 상승폭을 보이고 있는 데 대해서는 "공급차질과 에너지 및 음식물 가격 상승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며 "유휴 노동력과 국내총생산(GDP) 산출갭(실제성장률-잠재성장률) 등을 고려하면 내년에 다시 1%대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내다봤다.


또 한국 정부가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을 본격 추진하는 가운데 IMF 역시 코로나의 완전한 종식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중론이라고 허 이사는 전했다. 그는 "백신 보급만으로 코로나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에 따라 각국의 의료체계를 개선해 '팬데믹 투 엔데믹(pandemic to endemic)'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팬데믹은 특정 질병이 광범위하게 확산하는 '세계적 대유행'을 의미하는 반면, 엔데믹은 '풍토병'을 말한다. 즉 코로나가 세계적 확산 이후 사라지지 않고 토착병이 될 것이란 전망으로, 정부의 '위드 코로나' 대응과 그 맥락을 같이 하는 개념이다.



허 이사는 "해외 주요국들도 백신 접종률 상승으로 치명률이 하락하면서 코로나19와 공존하는 지속가능한 방역 체계로의 전환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워싱턴 D.C(미국)=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