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데이트 폭력 끝, 살인" 피해자 30% ‘남편·애인’에 살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2011~2017년 '애인간 살인·살인미수' 평균 103.4건
최근 3년간 데이트 폭력 신고 꾸준히 증가
2017년, 데이트 폭력 형사 입건자 1만명 넘어

"데이트 폭력 끝, 살인" 피해자 30% ‘남편·애인’에 살해 지난 5일, 현역 육군 중위가 자신의 여자친구를 2시간동안 무참히 폭행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해당 남성은 여자친구가 자신을 험담했다며 폭력을 휘두른 것으로 드러났다./사진=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김윤경 기자] #지난 5일 현역 육군 중위(23)가 자신의 여자친구를 2시간가량 무참히 폭행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경찰에 따르면 피의자 A 씨는 여자친구 B 씨가 자신의 험담한 사실을 알게 되자 여자친구를 발로 차고 의자를 던지는 등 폭행했다. 이로 인해 B 씨는 광대뼈가 내려앉고 갈비뼈가 부러졌으며 눈이 심하게 다치는 등의 피해를 입었다.


# 또 지난 2일 자신을 만나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40대 남성이 헤어진 연인을 흉기로 찔러 살해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 남성은 전 여자친구가 이별을 통보한 뒤 다시 만나주지 않자 홧김에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드러났다.


최근 데이트폭력이 폭행, 살인 등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데이트폭력의 끝은 ‘살인’이라고 입을 모은다.


데이트폭력은 남녀 사이에서 발생하는 신체적·언어적·정서적 폭력나 위협을 말한다.


지난해 경찰청 범죄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7년까지 발생한 애인 간 살인(미수 포함)은 평균 103.4건이다.


"데이트 폭력 끝, 살인" 피해자 30% ‘남편·애인’에 살해 2018년 경찰청 범죄통계에 따르면 2011~2017년 사이 발생한 '애인간 살인(미수 포함)'은 평균 103.4건에 달한다./사진=연합뉴스


피해 여성들은 목졸림을 당하거나 결국 흉기 등으로 인해 목숨을 잃는 데이트폭력 피해자가 됐다.


서울시 여성가족재단이 서울에서 1년 이상 거주한 여성(20~60세) 2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데이트폭력 피해 실태조사’를 살펴보면 데이트 폭력 유형은 다음과 같았다.


가장 많은 데이트 폭력 유형으로는 ‘팔목이나 몸을 힘껏 움켜잡음’ 35%이었으며, 이어 ‘심하게 때리거나 목을 조름’ 14.3%, ‘상대의 폭행으로 인해 병원 진료’ 13.9%, ‘흉기로 상해’ 11.6% 등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데이트폭력 피해로 인한 호소는 비교적 높은 수치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월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광수 민주평화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간(2016~2018) 데이트 폭력 검거 현황’자료에 따르면, 폭력 신고는 매년 증가 추세다.


2016년 9,364건이던 데이트 폭력신고 건수는 2017년 1만4,163건, 2018년 1만8,671건으로, 2년 사이 약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데이트 폭력으로 인한 형사 입건자는 2016년 8,367명에서 2017년 1만303명, 지난해 1만 245명으로 2017년 이후 1만 명 이상으로 집계됐다.


"데이트 폭력 끝, 살인" 피해자 30% ‘남편·애인’에 살해 한국여성의전화가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7년 한 해 동안 언론에 보도된 살인범죄사건 중 친밀한 관계의 남성에게 살해당한 여성은 10명 중 3명 꼴로 나타났다./사진=연합뉴스


한국여성의전화가 2017년 한 해 동안 언론에 보도된 살인범죄사건을 분석한 결과, 남편이나 애인 등 친밀한 관계인 남성에게 목숨을 잃은 여성은 85명이다. 이는 2017년 피해자가 사망한 살인범죄 282건 중 30%를 넘는 수치다.


경찰청 인권침해사건 진상조사위원회는 언론에 알려지지 않은 살해사건까지 고려하면 그 비중은 훨씬 높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광수 의원은 “데이트 폭력은 남녀 간 사랑싸움이 아닌 명백한 범죄 행위”라며 “최근 3년 동안 데이트 폭력으로 사망에 이르게 한 살인 기수는 51명에 달하고, 살인미수도 110명에 달하고 있는 만큼 데이트 폭력 범죄 근절을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김윤경 기자 ykk022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