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어린이 장난감 사고 대부분 가정에서 일어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국민안전처, 주의보 발령

어린이 장난감 사고 대부분 가정에서 일어난다 사진은 특정 내용과 무관함(아시아경제DB)
AD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5월 어린이날을 즈음해 장난감 구매가 늘어난 가운데, 어린이 장난감 안전사고는 주로 가정에서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된다.


18일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원 통계 결과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14세 이하 어린이 장난감 안전사고는 총 4,336건으로 연평균 1,445건이 발생했다. 연도 별로는 2014년 1,575건, 2015년 1,405건, 2016년 1,356건 등이었다. 장소별로 보면 가정이 68%(2,935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여가 및 문화 놀이시설 12%(499건), 도로 및 인도 6%(277건), 교육시설 5%(222건) 순으로 나타났다.

품목별로 보면 총ㆍ칼ㆍ비행기ㆍ자동차, 팽이, 구슬 등 일반 완구류에 의한 사고가 72%(3,113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놀이장비 및 액세서리류 15%(664건), 블록 및 조립 완구류 11%(470건), 휴대용 게임용구류 2%(89건) 순으로 발생했다.


원인별로는 미끄러지거나 넘어짐, 부딪힘 등 물리적 충격 50%(2,166건), 식품 및 이물질 42%(1,807건), 제품관련 7%(325건) 순으로 나타났다. 다친 부위는 머리 및 얼굴이 75%(3,268건)로 가장 많았다.


특히 6세 이하의 어린이는 관심을 소홀히 할 경우 작은 완구 및 부품을 입이나 코로 넣거나 장난감에 끼는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6월 충남에서 이모군(남, 만 2세)이 플라스틱 구슬을 가지고 놀다가 코에 들어가 병원 응급실에 실려갔다. 지난해 7월에는 전북에서 최모군(남, 만 3세)이 장난감 현미경에 왼쪽 집게 손가락이 끼어 부상을 입었다.


조덕진 안전처 안전기획과장은 "어린이 장난감 안전사고가 가정이나 놀이시설 등 일상생활과 밀접한 환경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장난감 구입 시 연령에 맞는 장난감을 선택하고 KC 마크, 안전ㆍ 경고 문구, 사용상 주의사항 등을 꼼꼼히 확인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