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재인 시대]한일 관계 암초 여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위안부 문제 최대 걸림돌…日 언론 '좌파'정권 운운하며 문 대통령의 反日 자세 경계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한국 대통령 선거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당선이 확실시되는 순간부터 일본 정부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와 문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모색하는 등 발 빠르게 대응하고 나섰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10일 "문 후보가 한국의 차기 대통령에 당선된 것을 축하드린다"며 "가능한 한 일찍 문 대통령을 뵙고 공통 관심사에 대해 솔직하게 대화하기를 기다린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관방장관은 정례 브리핑에서 "새로 출범하는 한국 정권과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관계를 더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켜 나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한일 관계 개선에 암초가 적지 않다. 대표적인 예로 2015년 12월 28일 박근혜 정부에서 위안부 문제에 대해 양국이 전격 합의한 것을 꼽을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선거 기간 내내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재협상 의지를 밝혀왔다. 그는 지난 3월 5일 부산에서 열린 북콘서트 중 "일본의 법적 책임과 공식 사과가 담기지 않은 협의는 무효"라며 "올바른 합의가 되도록 재협상을 촉구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반면 스가 관방장관은 한국 대선 당일인 9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한일간 약속일 뿐 아니라 국제사회에서도 높이 평가 받는 합의"라며 "착실한 합의 이행을 끈질기게 요구해 나아갈 방침"이라고 발언했다.


뿐만 아니라 해마다 거듭되는 일본 교과서의 독도 도발, 일본 외교ㆍ방위 백서의 독도 영유권 주장, 전쟁가능한 나라를 만들기 위한 아베 총리의 개헌 움직임 등 악재는 다양하다.


교도(共同)통신은 "정권 교체로 한국의 대북ㆍ대일 정책에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요미우리(讀賣)신문은 심지어 "한국에서 9년만에 '좌파' 정권이 집권하게 됐다"며 "문 대통령은 공약으로 한일 합의 백지화와 재교섭을 추진하고 부산 소녀상 철거에 반대하는 등 두드러진 반일(反日) 자세로 나서고 있다"고 경계했다.


미국 싱크탱크 국제전략문제연구소(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는 9일(현지시간) 앞으로 문 대통령이 헤쳐 나아가야 할 도전과제 중 하나로 한일 관계 복원을 지목했다. 그는 "이런 문제를 다룰 때 한국의 새 정부에 큰 폭의 변화보다 정교한 수술이 필요할 것"이라고 평했다.



이진수 기자 commu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