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해 4차 산업혁명 선도한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해 4차 산업혁명 선도한다 홍윤식 행정자치부 장관
AD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사물인터넷(IoT) 기반 건축물 에너지 정보, 인공지능(AI)에 의한 의료영상진단 정보 등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공공데이터 개방이 확대된다. 범정부 데이터 통합관리 체계도 구축된다.

행정자치부는 2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관련부처와 공동으로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를 개최하고 이러한 내용의 ‘2017년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첫 추진과제로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지능형·융합형 정보와 일자리 종합정보 등 사회 현안 문제해결이 가능한 국가 중점데이터 15개를 개방한다.

또 각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 중 민간 수요가 높고 신규·고부가가치 서비스 개발이 가능한 분야별·지역별 21개 데이터 개방을 추진한다. 예를 들어 해양수질 정보, 상세 교통소통 데이터 등이 공개된다. 이를 통해 관련분야 데이터의 산업적 활용이 높아지고 새로운 경제적 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행자부는 설명했다.


자율주행차, 스마트시티, 가상현실·증강현실 등 신산업 육성 발전에 필요한 공공·민간 데이터를 개방·활용할 수 있도록 산업군 별로 특화된 데이터 개방 로드맵을 수립하고, 관련 산업 전반에 걸친 민관 협치 체계(거버넌스)를 구축한다.


아울러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정책 수립 및 새로운 가치창출을 위해 범정부 공공데이터 관리체계(One Gov.)도 마련한다. 데이터 생성부터 수집·관리·융합·분석·활용·유통까지 관리할 수 있도록 관련 법·제도를 개선하고, ‘범정부 데이터 통합 플랫폼’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한다.


이 밖에도 행자부는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소속 ‘분야별 전문위원회’를 확대 개편한다.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가 범정부적인 데이터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제2차 공공데이터 기본계획의 주요 전략방향에 맞춰 정책 연구·안건 심의 지원을 강화하기 위해서라고 행자부는 설명했다.


홍윤식 행자부 장관은 “공공데이터 산업 생태계를 더욱 튼튼하게 만들어 우리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데이터 선도국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민영 기자 myk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