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2016 청년도시 컨퍼런스 '성료'

시계아이콘01분 3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2016 청년도시 컨퍼런스 '성료'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이 지난 21일 오후 동구 5·18민주광장에서 열린 ‘2016 청년도시 콘퍼런스’에서 이낙연 전남도지사, 천정배 국회의원, 김영배 성북구청장, 전국 청년대표단이 힘차게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사진제공=광주시
AD


"청년의 권리가 보장되는 도시"
"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
"마땅히 누려야 하는 시민으로서의 권리 보장하는 도시 돼야"
"취약청년·활력청년·참여청년으로 정책대상 세분화 필요 "

[아시아경제 노해섭 기자]청년 당사자와 각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청년문제와 정책방향을 찾기 위해 개최한 2016 청년도시 컨퍼런스가 22일 막을 내렸다.


‘청년은 시민이다 : 시혜에서 권리로’를 주제로 지난 21일과 22일 이틀 동안 5·18민주광장과 아이플렉스광주, 광주청년센터더숲에서 열린 2016 청년도시 컨퍼런스는 청년당사자회의, 지방정부회의, 해외네트워크회의가 잇따라 열렸다.

전국에서 모인 청년들의 다양한 목소리와 각 지자체, 전문가의 의견이 더해져 청년정책의 세부과제를 도출했다.

5·18민주광장에 펼쳐진 청년당사자회의는 ▲광주청년위원회 ▲광주청년유니온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전국대학생동아리연합 틔움 ▲광주·전남 UNPO ▲청년녹색당 파당파당 ▲전국미디어센터협의체 ▲복지창작소 터 ▲동네줌인&전국청년모임 등 총 9개 주제 테이블이 운영돼 청년의 권리보장을 위한 의견을 제시했다.


지방정부회의는 ▲생존할 권리 ▲자립할 권리 ▲일할 권리 ▲참여할 권리로 세션주제를 나누어 최소한의 삶의 안전망 제공, 경제·사회주체로 이행하기 위한 지원, 일자리 정책의 패러다임 변화, 청년층 참여 확대를 위한 세부방안 등이 논의됐다.


특히, 현재 청년정책의 대상을 연령으로 구분한 한계를 지적하면서 청년층 내부의 계층 차이를 세분화하고, 전통적인 취약계층 외에 발생하는 장기 미취업, 불안정 노동과 잦은 이직, 구직 단념 등 청년내부의 새로운 취약계층을 우선적인 청년정책의 대상으로 집중해야 한다는 데에 의견이 모아졌다.


해외네트워크 회의는 중국과 청년중심의 교류 틀을 구축하기 위해 창업을 주제로 청년창업자들이 정보와 활동을 나누는 자리로 마련됐다.


중국의 청년창업과 광주지역 청년창업 사례발표가 있었고, 광주창업지원네트워크과 협업,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창업스쿨도 운영돼 중국의 높은 창업 열기를 실감할 수 있었다.


또, 환영식과 함께 열린 전국청년광장에서는 청년당사자회의에서 제시된 의견을 광역·기초지자체, 의회 등에 전달했고, 방송인 김제동이 함께해 청년이야기를 많은 광주시민들과 공감하고 공유하는 시간도 가졌다.


청년당사자 회의를 꾸린 김성찬 광주청년위원은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다양한 고민을 가진 전국의 청년그룹과 교류할 수 있어서 의미가 깊었다”고 밝혔다.


또한 최다은 광주전남 UNPO 대표는 “청년들 간의 교류가 한번에 그치지 않고 지속되면서 청년문제를 해결해가는 연대체가 구성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방정부 회의 참여할 권리 발표자로 참석한 김혜민 청년순천네트워크 대표는 “청년층이 참여하기 어려운 현재의 구조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더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주제세션을 진행한 한 선 호남대 교수는 “지금 청년들에게는 자기 삶에 투자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고 지원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지방정부회의 사례발표를 위해 참여한 김영배 성북구청장은 “시민권을 적극 보장하는 방향으로 청년정책을 바라보는 광주시의 정책관점이 혁신적이다”며 “광역·기초 지자체가 더 긴밀하게 논의를 확장해 가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청년당사자 회의에서 제안된 9가지의 주제와 지방정부 회의를 통해 종합한 내용을 토대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청년의 권리보장을 위한 기본 원칙을 마련한 계획이다.


윤장현 광주광역시장은 “청년의 미래가 부모세대, 아동·청소년 세대와 연결돼 있다는 생각 속에 시정의 중심을 청년에 놓고 새로운 길을 놓아가고 있다”며 “이번 청년도시 컨퍼런스를 통해 취약청년, 활력청년, 참여청년으로 정책대상을 보다 세분화해 대상별로 각기 다른 지원책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노해섭 기자 nogary@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