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스의눈]경주지진, 두달전 '카드뉴스'에 예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34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경주 추석귀성 나서는 기자와 '9.12지진'…방진 정책의 대전환 필요할 때다

[아시아경제 이상국 기자]12일 저녁 7시44분, 5.1의 첫 지진. 8시32분 5.8 지진. 이후 지인으로부터 고향의 안부를 묻는 문자를 받았습니다. 회식 중이라 뉴스를 보지 못했기에 메시지에 깜짝 놀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경주에 계신 부모님께 전화를 걸었지만 받지 않으셨습니다. 걱정이 되었지만, 부친은 귀가 안 좋으셔서 보청기를 떼면 벨소리를 못 들으시고 어머니는 허리를 다치신 뒤 기동이 불편하셔서 가끔 '불통'을 겪는지라 좋은 쪽으로 생각하려 했지만 불안해지는 마음을 어쩔 수 없었습니다. 몇 번 전화 끝에 닿은 어머니의 목소리가 어찌나 반가웠던지요.


첫 마디가 "괜찮으세요? 별 일 없으세요?"였습니다.
"괘안타. 쿠웅 컷디마는(하더니만) 좀 떨리더라."
"아이고, 얼마나 그러셨어요?"
"두 번 그라더니 잠잠해지더라."
"많이 놀라셨겠네요."
"테레비에도 나오고 그라더라."
"예. 큰 지진이었대요. 어머니, 저희 곧 내려갈게요."

'조심하세요'라고 말씀 드리려다가, 하나마나한 얘기인 것 같아, '너무 걱정마세요'라고 바꿔 말하고는 전화를 끊었습니다.이번 지진으로 경주 지역에선 가게 유리창이 깨지고 TV가 떨어지고 벽이 갈라지는 등 상당한 피해가 났지요. 8명이 부상을 입었고 재산피해 신고는 253건이었습니다. 일본이나 중국에서 일어나던 비극을 고향에서 너무도 생생하게 맛본 셈입니다.


[뉴스의눈]경주지진, 두달전 '카드뉴스'에 예언? 경주 지진 피해 사례(제공=트위터)
AD


경주에는 방사능폐기물 처분시설과 5기의 원자력발전소가 '세계 최대 규모'로 밀집해 있기에, 단순한 지진 피해도 무섭지만 추가적인 재앙도 몹시 걱정되는 곳이죠. 최근 4년 동안 310차례의 지진이 있었다는 연구기록(한국 지구물리 및 물리탐사학회 계간지 논문)도 있습니다. 문화재도 흔들렸습니다. 불국사 대웅전 지붕과 오릉 담장의 기와가 떨어지고 석굴암 진입로엔 돌이 굴러 떨어졌지요.


여진은 며칠 더 계속될 수 있다는 얘기도 들립니다. 이런 가운데 한가위 귀성을 해야하는 일이 걱정스럽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다고 늙은 부모님이 불안 속에 계시는 그곳을 찾아뵙지 않을 수 없지 않겠습니까. 별 일이 없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사실 경주에는 신라시대인 777년과 779년, 큰 지진이 났습니다. 삼국사기 증보문헌비고의 혜공왕 때 기록을 보면 779년 3월 큰 지진으로 100여명이 사망했다고 합니다. 땅이 갈라지고 물이 솟아나면서 서라벌(경주)의 집들도 많이 무너졌다고 합니다. 2년전 두 차례 지진이 났을 때, 신하들은 또다른 강진이 올 수 있으니 왕에게 대비할 것을 주문했다고 합니다. 황상일 경북대 지리학과 교수는 신라 지진의 규모가 7.0 정도 될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뉴스의눈]경주지진, 두달전 '카드뉴스'에 예언?


[뉴스의눈]경주지진, 두달전 '카드뉴스'에 예언?


[뉴스의눈]경주지진, 두달전 '카드뉴스'에 예언?


[뉴스의눈]경주지진, 두달전 '카드뉴스'에 예언?


[뉴스의눈]경주지진, 두달전 '카드뉴스'에 예언?



두 달 쯤 전인 지난 7월5일 울산에서 규모 5.0 지진이 발생했을 때, 한반도의 지진 역사와 관련한 카드뉴스를 제작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때 지진의 사이클과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경주-울산-부산 지역의 지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거론하면서, 1300여년전 경주지진의 참상을 거론하며 보다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였지요. 이번 경주지진으로 그 카드뉴스가 새삼 관심을 받으면서 포스트에 독자들의 댓글이 많이 달리고 있네요.


☞ 클릭 - 네이버 포스트 바로가기
☞ 클릭 - [카드뉴스]100명 숨진 경주지진 아시나요


마치 '예언가'가 된 듯한 머쓱한 기분이지만, 문제의 핵심은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니, 방진 정책이 더욱 강화되고 원전처럼 지진으로 치명적인 추가 재앙을 낳을 수 있는 시설들에 대한 국가 정책의 원칙들을 재고해야 하는 게 아닐까 합니다. 국민의 '죽음'을 담보로, 나라의 정책을 설계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이상국 기자 isomi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