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CJ프레시웨이, 농가 상생 드라이브 ‘박차’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CJ프레시웨이, 농가 상생 드라이브 ‘박차’
AD

[아시아경제 이주현 기자]CJ프레시웨이는 ‘지자체-대기업-농민’간 공유가치창출 상생모델을 구축해 농가가 흘린 구슬땀이 보람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CJ프레시웨이는 2015년 한해 동안 전국 8개 지역, 135개 농가와 계약재배를 통해 연간 약 3630t에 달하는 농산물을 구매했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90억원 규모다. 딸기, 토마토, 건고추, 양파 등 4개 품목을 주로 취급했으며, 해당 농산물의 주요 산지를 선정해 계약재배를 실시했다.

CJ프레시웨이와 딸기 계약재배를 해왔던 경남 산청의 농업법인인 이부권 조이팜 대표는 "산지계약 재배로 농가는 어디에 어떻게 팔아야 할지에 대한 고민 없이 농사에만 전념 할 수 있게 됐다. 자연스럽게 최신 농법에 대한 연구와 저장기술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됐으며, 결국 좋은 품질의 딸기 생산으로 이어져 농가 소득도 크게 향상됐다”고 전했다.


올해는 농가와의 상생에 더욱 드라이브를 건다는 계획이다. 올해 CJ프레시웨이와 손잡은 농가는 786개 농가로 전년대비 약 58% 이상 늘어났으며, 취급하는 품목도 쌀을 비롯해 양파, 감자, 무. 배추 등 8개 품목으로 확대 됐다. 자연스럽게 취급하는 물량도 늘어 전년대비 약 25% 증가한 9145t에 달하는 농산물을 수매 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양파의 경우 경남 거창과 전북 여산 지역 40개 농가와 계약재배를 통해 연간 1900여t을 소화할 계획이며 익산 지역 240여 농가에서 2275t에 달하는 쌀을 계약 재배할 것이라고 전했다.


산지 계약재배로 농가는 판로걱정 없이 안정적인 소득을 기대할 수 있고, 기업은 신선한 농산물에 대한 물량 확보가 가능해 농가와 기업이 상호 윈윈(Win-Win)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농가에서 작물의 품종을 선별할 때부터 생산, 가공, 상품화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대한 이력관리가 가능해져 고품질의 경쟁력 있는 상품을 시장에 공급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산지 계약재배는 유통단계를 대폭 줄여, 유통비용과 유통상 발생할 수 있는 신선도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농산물의 유통단계는 5단계 (산지 → 산지수집상(유통인) → 공판장(경매) → 제조사(제분과정) → CJ프레시웨이)를 거치는데 반해 계약재배의 경우 3단계(산지 → 지역 농업법인 → CJ프레시웨이)로 줄일 수 있다.


특히 농산물의 경우에는 산지에서 산지에서 최종 소비자까지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발생하는 유통 비용만 해도 약 45~60%에 달한다. 결국 산지계약재배를 통해 유통단계 선진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산지계약 재배를 통해 확보된 농산물은 CJ프레시웨이 전국 유통망을 통해 시장에 공급되며, CJ제일제당에서 생산하는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거나 국내 유명 외식기업인 VIPS나 계절밥상, 대형 프랜차이즈 외식업체 등의 식재료로 사용된다.




이주현 기자 jhjh1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