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철도공단, 공사대금 '체불e제로' 시스템 구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아시아경제 김종화 기자]한국철도시설공단은 하도급대금과 자재비?장비비?노무비 등 철도현장의 대금체불을 원천차단?예방하기 위해 새로운 체불방지 시스템인 KR '체불e제로'를 구축하고, 이달부터 본격 운영 중이라고 18일 밝혔다.


철도공단은 건설경기 침체 등 대형건설사의 자금난으로 하도급사의 연쇄 부도 등 경제적 어려움의 도미노현상을 막기 위해 인력과 유선에 의존하던 오프라인 방식에서 벗어나 최신 스마트모바일과 IT 기술을 접목해 대금의 흐름을 온라인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체불e제로'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했다.

'체불e제로' 시스템은 공사대금을 원도급사에 일괄 지급하던 기존 방식과 달리 사전 승인한 대금지급 계획에 따라 원?하도급사, 자재·장비업체, 근로자의 몫으로 각각 구분해 지급 처리하는 것이 핵심기능이다.


시스템과 연계된 전용계좌는 공사대금을 청구하면 각 단계별로 해당업체가 자기 몫에 대해서만 인출이 가능해 건설현장의 공사대금 체불을 원천 예방할 수 있다.

또 해당 철도사업에 참여한 모든 업체, 근로자에게 대금 지급처리상황에 대한 알림기능(Pay Alarm)을 스마트폰으로 제공해 공단 감독자가 실시간 온라인으로 확인할 수 있다.


철도공단은 현재 진행 중인 이천∼충주(제1공구 노반), 성남∼여주(신호설비), 경부선 원동천교 개량공사 등 3개 철도건설 현장을 우선 적용 사업으로 선정하고, 2회 이상 체불이력이 있는 건설사업을 추가로 적용하는 등 순차적으로 시스템 활용을 늘리고 있다.


철도공단 관계자는 "향후 신규발주 사업은 '체불e제로' 시스템을 사용한 대금지급 처리를 의무적용 하도록 공사계약 관련 내부규정을 보완했다"면서 "이미 계약된 사업의 경우 계약상대자와 협의를 통해 적용 사업장을 확대하는 등 내년 7월까지는 철도건설 전 현장에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