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성남시 "분당올림픽스포츠센터 매각 모든 방법동원 막겠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8초

[아시아경제(성남)=이영규 기자] 경기도 성남시가 정부의 분당 올림픽스포츠센터 민간 매각에 대해 반대입장을 천명하고 나섰다.


성남시는 30일 성명서를 내고 "분당 올림픽스포츠센터 매각이 체육발전을 위축시키고 시민들의 불편을 가중시킬 것"이라며 "정부가 지속적으로 민간 매각을 추진하고 있는 데 이를 철회할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분당 올림픽스포츠센터는 분당 신도시 조성 당시 건립돼 1994년 개관한 성남시의 대표적 공공체육시설이다. 현재 수영, 헬스, 스케이트, 농구, 탁구 등 27개 종목의 수강이 이뤄지고 있으며 민간시설의 70~80% 수준의 저렴한 요금을 받고 있어 시민들의 반응이 좋다. 이에 따라 월 평균 1만여명이 넘는 시민들이 분당 올림픽스포츠센터를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2008년 이후 지금까지 공기업 선진화를 이유로 이 시설의 민간 매각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올해 5월27일 발표한 '공공기관 3대 기능조정 추진방안'에서 이 같은 내용을 재확인했다. 또 오는 10월1일 열리는 '2015 제3차 자산매각지원위원회에서 시설 매각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성남시는 분당 올림픽스포츠센터의 민간 매각은 수익시설로 변질 돼 공공체육시설의 기능 상실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걱정하고 있다. 성남시는 이 같은 주장 근거로 정부가 2003년 민간에 매각한 평촌, 둔촌스포츠센터를 들고 있다. 이 시설은 매각 후 수익시설로 변질돼 미투자 부실운영 등 비판을 받고 있다.


성남시는 이재명 시장 취임 후 '공공성 강화'를 정책방향으로 잡고 공공체육시설을 민간에 매각하는 정부 계획이 곧 '공공성 약화'로 이어진다며 매각을 반대해왔다. 또 정부의 '생활스포츠프로그램 및 시설확충'이라는 정책에도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를 대고 있다.


김남준 성남시 대변인은 "분당 올림픽스포츠센터가 무리하게 민간에 팔릴 경우 해당 시설부지에 대한 용도변경 불허 등 공공체육시설 존치를 위해 가능한 조치를 다할 수 밖에 없다"며 "정부는 지역민과 지방정부의 입장을 충분히 수렴해 '공공성'을 해치지 않는 현명한 판단을 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