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남경필의 넘치는 '카카오톡' 사랑에 도민은 "글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4초

남경필의 넘치는 '카카오톡' 사랑에 도민은 "글쎄?" 남경필 경기지사
AD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지난해 11월 도입한 '카카오톡 민원서비스'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11월부터 모바일 채팅 서비스를 활용한 카카오톡 민원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위해 5명의 인력과 1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카카오톡 플러스친구에서 경기도와 친구를 맺은 뒤 대화창을 이용, 불편한 생활민원과 재난안전 등을 신고하면 이를 처리해 주는 방식이다.


그러나 지난해 11월부터 올해 1월말까지 카카오톡 이용 민원신청 건수는 하루평균 40여건에 그치고 있다. 특히 해당 민원서비스 이용을 위해 카카오톡에 등록된 이용자(카톡 플러스 친구)가 지난달 말 기준 18만5000명에 이르지만, 등록자 대부분은 민원으로 이어지지 않는 허수로 드러났다. 등록자 대부분이 경기도가 벌인 1회성 이벤트 등을 통해 모집됐다는 방증이다.

실제 해당 부서가 지난 1월 17만명의 카카오톡 등록자를 대상으로 도정소식을 발송했지만 이를 열람한 등록자는 전체의 17%인 2만7000여명에 불과했다.


카카오톡의 민원처리 속도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당초 경기도는 카카오톡 민원서비스가 1대1 방식으로 운영돼 민원 처리가 하루, 이틀이면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실제 처리 기간은 일반 온라인(컴퓨터 이용) 민원 접수 형태와 동일한 1주일 가량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경필 경기지사는 카카오톡에 각별한 애정을 보이고 있다. 도청 공직자들과의 소통 창구로 카카오톡을 선호한다. 해외 출장 중 주요 현안도 카카오톡을 통해 보고받고, 결재한다. 지난해 10월 독일 등 유럽 출장 중 발생한 성남 판교 환풍구 추락사고 때도 실·국장들과 카카오톡을 통해 대책을 논의하고, 조기 귀국을 결정했다.


앞서 경기도는 지난해 7월 남경필 지사 취임 후 첫 '희망의 경기포럼' 강사로 이석우 카카오 대표를 초청해 공직자들을 대상으로 특강을 진행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