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희상 "朴대통령, '다른 나라 이야기' 하는 줄 알았다"(상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9초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손선희 기자]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은 하루 앞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 기자회견에 대해 "'다른 나라 이야기'를 하는 줄 알았다"며 직격탄을 날렸다.


문 비대위원장은 13일 오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고 "박 대통령이 보는 경제지표와 국민이 보는 경제지표가 정반대로, 너무나 달랐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문희상 "朴대통령, '다른 나라 이야기' 하는 줄 알았다"(상보)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
AD

그는 "(박 대통령은) 국민의 걱정을 덜어주는 것이 아니라 국민에게 더 큰 걱정을 안겨줬다"며 "대통령의 성공을 기원하고 다시 한 번 국가경영에 매진할 것을 기대했던 야당의 대표로서 실망스럽다, 미흡하다는 말씀을 드릴 수밖에 없음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시간은 길었지만 내용이 없었고, 말씀은 많았지만 희망이 없었다"며 "혹시 대통령이 오늘의 상황을 정확히 인식하지 못하고 계신 것은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다"고 개탄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정윤회씨 문건 파동'으로 불거진 비선실세 국정농단 사태에 대해 "국정쇄신의 요체는 인적쇄신"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대통령이 김기춘 비서실장과 이른바 '문고리 3인방'으로 지목된 이재만·정호성·안봉근 등 세 비서관에 대해 '교체할 이유가 없다'는 식으로 두둔한 데 대해 그는 "결국 청와대 안에서 문제가 발생했는데, 그 안에 지휘 책임을 지는 사람이 한 사람도 없고 사과의 말씀도 없었다는 것이 있을 수 있는 일이냐"고 따져 물었다.


박 대통령의 경제 인식에 대해 문 비대위원장은 "해고가 자유로운 노동시장, 착한 규제도 없애는 무차별적인 규제 완화, 엄청난 사내 유보금을 쌓아두는 재벌에 또 다시 특혜를 주는 경제정책 기조로는 경제를 살릴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 큰 위기가 오기 전에 정부의 경제방향을 전면 재검토해 소득주도 성장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면서 "가계소득 보장 경제 기조가 정답"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낙수효과는 더 이상 없다"면서 "지금 정부가 채워야 하는 것은 재벌의 금고가 아니라 서민들의 텅 빈 지갑"이라고 꼬집었다.


남북문제와 관련해선 "북과 대화, 교류하고 협력해야 한다"며 "이명박 정부의 5·24 대북제재 조치 철회와 금강산 관광 재개 등 구체적 행동에 나서 달라"고 촉구했다.


그는 "이제라도 대통령이 약속한 48.5%의 반대했던 세력까지 껴안고 보듬는 100% 청와대, 어머니와 같은 대통령이 돼야 한다"면서 "그것이 100% 국민의 대통령이 되는 길이요, 역사에 남는 성공한 대통령이 되는 길"이라고 호소했다.


문 비대위원장은 2·8 전당대회를 둘러싼 각종 네거티브 공방에 대해 "당명 개정에 대한 의견이 나올 수는 있지만 표를 의식한 것이라면 잘못된 것"이라며 "당헌당규 개정 사안인데 절차상으로도 불가능한 일"이라고 못박았다.


이어 "민주정당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의견이 나올 수 있고 그것을 선거라는 과정으로 용광로처럼 녹여낼 수 있다"며 "대권·당권 분리론이나 대선 패배 책임론 등도 모두 소멸하는 과정에 있는 쟁점"이라고 말했다.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