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문화예술계, 거장들에게 대한 '추모'와 '회고' 열기

시계아이콘02분 1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글자크기

[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올초 문화·예술계에선 거장들에 대한 '회고' 및 '추모' 열기가 뜨겁다. 이 중 '고 김남주 시인(20주기)의 문학적 재조명', 화단에선 고 박수근 화가 탄생 100주년 기념전(가나아트센터, 3월16일까지) , 세계적인 건축가 '고 이타미 준-바람의 조형'전(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 7월27일까지) 등이 대표적이다.


이외에도 고 이중섭, 고 김환기, 고 천경자 등 회화의 거장(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관-근현대회화 100선전, 3월30일까지)은 물론 공예계의 고 송주안(필통), 고 김봉룡(서류함) 등 우리 시대 조형 명장(문화역서울284, 3월9일까지)들도 컬러보래이션 행태로 유작을 선보임에 따라 애호가들의 발길을 끌고 있다. 그동안 연초 미술시장에선 해외 명화 위주로 블록버스터 형태의 전시가 많았다. 그러나 올해 연초부터 국내 유명 문화예술인들의 '회고'가 큰 물결을 형성함에 따라 문화시장의 트렌드도 변화할 지 주목된다.

◇ '김남주 시인 추모 열기'=올해 김남주 시인 20주기(1994년 2월13일 사망)를 맞아 문단이 추모 열기로 분주하다. 창비출판사는 이달말 그의 시 519편을 망라한 최초의 '김남주 시전집', 김남주에 관한 평론 모음 '김남주 문학의 세계'를 출간한다. 한국작가회의도 28일 오후 6시30분 서울 연희문학창작촌 미디어랩실에서 출판기념회를 겸한 ‘김남주를 생각하는 밤’ 행사를 연다. 이에 앞서 실천문학사는 지난 12일 경향신문사 5층 강당에서 20주기 기념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어 계간 '실천문학' 봄호에는 심포지엄의 발표문을 중심으로 특집호를 마련할 예정이다.


김남주기념사업회도 15일 추모제를 연데 이어 오는 9월 시극 '이 두메는 날라와 더불어'(가제)와 시화전, 유품 전시, 세미나 등 추모문화제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와 별도로 기념사업회는 전남 해남의 김남주 시인 생가터에 문학관 건립을 계획하고 있다.

김남주 시인은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전남대 영문과를 수학했다. 1974년 염무웅 평론가의 추천으로 계간 '창작과 비평' 여름호에 '진혼가' 등을 발표하며 작품할동을 시작했다. 1979년 남민전 사건으로 15년형을 선고받고 복역중 1988년 가석방, 출소했다. 시집으로 '진혼가', '나의 칼, 나의 피', '조국은 하나다', '솔직히 말하자', '이 좋은 세상에', '사상의 거처' 등이 있다. 이외에 시선집인 '사랑의 무기', 옥중시선집 '저 창살에 햇살이', 산문집 '산이라면 넘어주고 강이라면 건너주고' 등도 있다.  


◇ 박수근 탄생, 100주년=

문화예술계, 거장들에게 대한 '추모'와 '회고' 열기 박수근 작 '빨래터'.
AD

고 박수근(1914~1965)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사랑하는 화가다. 박수근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3월16일까지 진행한다. 관훈동 가나인사아트센터에서 기념전이 열린다. 박수근은 이중섭, 장욱진 등과 더불어 한국 근대화단을 대표한다. 박수근은 가장 한국적인 모습을 화폭에 담아 '국민화가'로 불린다. 박수근은 생전 "나는 우리나라의 옛 석물, 즉 석탑·석불같은데서 말할 수 없는 아름다움의 원천을 느낀다"는 말로 자신의 작품 세계를 설명한 적 있다.


박수근은 일제 강점기인 1914년 2월21일 강원도 양구군 양구면 정림리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부친이 광산업에 실패, 집안이 몹시 궁핍해 보통학교(지금의 초등학교)만 간신히 마쳤다. 독학으로 그림을 공부해 1932년 조선미술전람회에 입선하며 화단에 등장했다.


1953년 대한민국 미술전람회(이하 '국전')에서 특선을 받았고, 1957년에는 낙선의 아픔을 겪었다. 그 때 술에 빠져 백내장에 걸렸으며 한쪽 눈이 실명하기도 했다. 돈이 없어 수술받지 못한 탓이다. 박수근은 1962년 국전 심사위원으로 위촉돼 빛을 보는 듯 했다. 그러나 1965년 간경화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작품 '강변', '빨래터', '절구질하는 여인', '애기 업은 소녀'는 정겹고 아늑한 정취를 지녀, 여전히 우리의 감성을 울린다.


◇ '이타미 준-바람의 조형'=

문화예술계, 거장들에게 대한 '추모'와 '회고' 열기 이타미 준 작 '포도호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오는 7월27일까지 '이타미 준: 바람의 조형'전이 열린다. 재일동포 건축가 이타미 준(한국명 '유동룡', 1937~2011)의 대규모 회고전인 이번 전시회는 일본에서의 초기 작업부터 말년의 제주 프로젝트까지 40여년에 걸친 건축 세계 전체를 아우른다. 전시 작품은 지난해 미술관에 기증된 이타미 준의 아카이브와 유족 소장품으로 구성된 500여점으로 건축 작업뿐만 아니라 회화, 서예, 소품 등이 총 망라된다.


이타미 준은 2001년 핀크스 리조트 단지 안에 포도송이를 연상시키는 독특한 지붕 아래 제주의 전통가옥을 옮겨놓은 듯한 포도호텔을 설계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일본에서 작업한 대표작으로 1971년 시즈오카의 '시미즈 주택', 1975년 도쿄의 '인디아 잉크하우스', 1991년 훗카이도 코마코마이의 '석채의 교회', 1992년 '도쿄 M 빌딩' 등을 꼽을 수 있다.


한국과의 건축적 인연은 1988년 서울 방배동 '각인의 탑'을 시작으로 1998년 제주도 핀크스 리조트 단지, 2000년 경기도의 게스트하우스인 '올드 앤드 뉴', 2001년 제주의 전통가옥을 옮겨놓은 듯한 포도호텔, 2004년 물·바람·돌(水·風·石) 미술관, 2005년 두손 미술관 및 학고재 미술관. 2008년 비오토피아 타운 하우스 등으로 이어졌다. 이후 2007~2008년에 일본 민예관운영위원으로 활동하다가 2009년부터 제주로 옮겨와 제주영어교육도시 개발사업 관련 건축 총괄책임을 맡았다.




이규성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