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채금리 일단 안정, 정부 수급조절 약발
[아시아경제 이승종 기자] 장기채권 금리 급등을 막기 위한 정부 수급조절 대책이 일단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장 채권금리 하락세가 계속 이어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3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정부가 장기채 안정화 대책을 발표한 후 열흘 동안 시중 채권금리는 상당폭 하락했다. 국채 10년물 금리는 3.58%에서 2일 현재 3.42%로 16bp(1bp=0.01%포인트) 내렸고, 20년물은 3.72%에서 3.59%로 13bp 하락했다. 30년물 역시 3.81%에서 3.67%로 14bp 떨어졌다.
지난달 '버냉키 쇼크' 이후 장기채 위주로 채권 금리가 급등하자 정부는 7월 장기채 발행물량을 줄여 금리 상승을 막겠다고 나섰다. 기획재정부는 이달 10년물 이상 장기채 발행 규모를 6000억원 축소했는데 10년물 3000억원, 20년물 500억원, 30년물 2500억원 등이다. 이달 국채 총 발행물량은 6조6000억원이다.
김상훈 하나대투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장기채 비중 조절 대책이 나름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계획이 언제 구체적인 실행에 들어갈지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급한 불은 껐지만 언제라도 채권 금리가 올라갈 가능성은 남아 있다는 얘기다.
가장 큰 문제는 장기채 수요가 마땅찮다는 점이다. 지난 1일 국채 30년물 응찰률은 상장 이후 최저인 268%를 기록했다. 통상 400%를 상회하던 응창률이 크게 줄어든 것이다. 버냉키 쇼크 이후 금리 변동성이 커지자 보험사 등 장기채 투자기관의 투자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증권사, 자산운용사 등이 채권 평가손실로 허덕이고 있어 현재 장기채를 사들일 수 있는 기관 투자자는 보험사가 유일하게 꼽히지만 쉽사리 지갑을 열지 않고 있다. 박동진 삼성선물 연구원은 "투자자들이 섣불리 저가매수에 나서기보다는 장기물 투자를 일단 보류하고 있는 모습"이라고 전했다.
상황이 이렇자 전문가들도 향후 전망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금리 상승과 하락을 산발적으로 내다보면서도 "현재 채권시장이 불투명해 전망이 쉽지 않다"는 데는 입을 모으고 있다.
신얼 현대증권 연구원은 "국채선물은 장 중에도 매매 방향이 변할 정도로 뚜렷한 방향성이 없는 상황"이라며 "금주 미국 비농업고용자수와 실업률을 통한 고용지표가 확인될 때까지는 미국 채권시장에 연동하면서 변동성이 큰 장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승종 기자 hanarum@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