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북한 이동식 탄도미사일 대폭 늘렸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북한 이동식 탄도미사일 대폭 늘렸다 북한 노동당 창당 65주년 기념일에 행진하는 북한군
AD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북한이 이동식 탄도미사일 발사대(TEL)를 최대 200대가량 보유한 것으로 추정됐다.

양낙규 기자의 Defense Club 바로가기


미국 의회에 지난 2일 제출된 A4용지 20매 분량의 '북한 군사력 증강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KN-02와 스커드-ER 단거리 미사일은 100대 이하, 노동 미사일 50대 이하, 무수단 중거리 미사일(IRBM) 50대 이하 등으로 명기했다. 이 보고서는 미국 국방부의 정책차관보실 등이 주도해 작성한 것으로 북한의 군사력에 대한 권위 있는 판단을 담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이는 우리 군과 정보당국이 추산한 최대 94대보다 2배가 넘는다. 현재 정보당국은 스커드-B/C/ER의 발사대는 최대 40대, 노동 미사일 최대 40대, 무수단 미사일 14대 등으로 분석하고 있다.


북한 이동식 탄도미사일 대폭 늘렸다


이동식 발사대는 탄도미사일을 차량에 싣고 이동하다가 적당한 장소에서 미사일을 세워 발사할 수 있기 때문에 기습적인 공격이 가능하다. 지난달 초 무수단 미사일 2기가 이동식 발사 차량에 실려 함경남도 동한만 지역으로 이동, 군 당국이 정보감시태세를 강화하기도 했다.


또 미 국방부는 북한이 방사포 5100문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했다. 이는 우리 국방부가 발간한 '2012년 국방백서'에 나타난 4800문보다 300문이 늘어난 것이다. 북한군은 107㎜, 122㎜, 240㎜ 등 세 종류의 방사포를 보유하고 있고 이중 사거리 20㎞가 넘는 122㎜ 방사포는 2010년 연평도 포격도발 때 동원했다.


반면 1950∼1970년대 소련과 중국에서 생산되거나 설계된 구식 지상군의 노후장비는 도태되는 추세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2012 국방백서'와 비교해 줄어든 지상군 장비는 전차(4200→4100대), 장갑차(2200→2100대), 야포(8600→8500대) 등이다.


공군의 전투(임무)기도 820대에서 730대로, 수송기는 330대에서 290대로 각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공군 병력도 11만명(국방백서)에서 9만2000명으로 1만8000명이 감축된 것으로 추정됐다.


KIDA 군사기획연구센터의 김성걸 박사는 "북한은 계속된 경제난에도 미사일 증강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는 사실을 미국 보고서는 확인하고 있다"면서 "남한과 주한미군을 위협할 수 있는 특정 비대칭 분야에 집중하고 있고, 강화되는 국지도발 능력은 내부의 저항을 잠재우는 정권 보위자 역할도 하는 것으로 평가한다"고 말했다.




양낙규 기자 if@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