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노인·농어민·장애인 등 소외계층 '모바일 격차' 극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0분 49초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노인·농어민·장애인 등 소외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이 일반국민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이유나 세대간 격차 등으로 소외계층이 스마트폰 등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정보화진흥원(원장 김성태)은 12일 이같은 분석을 포함한 '2012년도 정보격차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미래부와 진흥원은 일반 국민 4300명과 소외계층 1만3200명의 대인면접조사를 전문조사기관에 위탁해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해 지수를 산출했다. 소외계층의 표본 크기는 '4대 소외계층'인 장애인, 저소득층, 장·노년층, 농어민 각 3000명, '신소외계층'인 북한이탈주민, 결혼이민여성 각 600명이다.


지난해 소외계층의 스마트폰 보유율은 21.7%로 직전해(8.6%) 보다는 크게 높아졌으나, 전체 국민 스마트폰 보유율(61.5%)과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소외계층 중에서도 스마트폰 보유율이 특히 낮은 집단은 장노년층(18.8%), 농어민(19.2%)이었고, 장애인(23.1%), 저소득층(31.8%)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지수 평가 결과 소외계층의 모바일 정보화 수준은 일반 국민 대비 27.8%에 불과했다. 세부 집단별로는 장노년층(22.2%), 농어민(25.3%)이 심하게 뒤졌으며, 장애인(30.2%)과 저소득층(46.1%)이 상대적으로 나은 상황이었다.


다만 유선 인터넷과 PC 기반 정보격차는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소외계층의 가구 PC 보유율(68.7%)과 인터넷 이용률(46.8%)은 전체 국민에 비해 각각 13.6%포인트, 31.6%포인트 낮았다. 이는 정부가 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시작한 2004년과 비교하면 각각 15.5%포인트, 13.7%포인트 좁혀진 것이다.


또 지난해 기준 소외계층의 PC기반 정보화 수준 지수는 일반 국민의 74.0%로, 재작년 대비 1.6%포인트, 2004년 대비 29.0%포인트 높아졌다.


미래부 관계자는 "소외계층 대상 스마트기기 보급, 장애인을 배려한 모바일 앱 접근성 향상과 기기 개발, 장노년층 베이비붐세대를 위한 모바일·SNS 활용 교육 등을 통해 정보 격차를 줄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