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착한 소비·착한 기업에 거는 기대

시계아이콘01분 01초 소요

친환경 소비를 많이 할수록 생활비를 절약할 수 있는 신용카드가 등장했다. 지난주에 선보여진 그린카드가 그 주인공으로 가정에서 전기ㆍ수도ㆍ가스 사용량을 줄이거나 친환경 제품을 구입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포인트가 적립돼 연간 20만원까지 혜택을 볼 수 있다. 수많은 영리 목적 카드들이 고객 주머니를 열기 위해 경쟁하는 상황에서 온실가스 감축이란 공익과 인센티브를 연계한 '착한 카드'의 등장은 반가운 일이다. 대통령이 1호로 카드를 발급 받았고, 지방은행에선 광역단체장에게 1호 카드를 전달하는 등 분위기를 띄우고 있다.


물건을 살 때 생산 과정,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 만든 기업의 도덕성을 따지는 것이 최근 대두된 '착한 소비' 또는 '윤리적 소비'다. 낮은 가격이 소비를 결정하는 최우선 요인이 아니라는 것으로 친환경 소비와 공정무역, 로컬푸드 구매, 공정여행 등이 이에 해당한다. 국내에서도 친환경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과 이들 제품을 판매하는 매장이 늘고 있고, 착한 소비를 유도하는 소셜커머스가 인기다. 전통시장 살리기도 좋은 착한 소비 운동이 될 수 있다.

그렇다고 합리적 소비에 익숙해져 있는 소비자에게 무작정 착한 소비를 강요하는 것은 무리다. 착한 소비 제품과 서비스는 아직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구입하기도 불편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요즘 같은 고물가 시대에는 당장 싼 제품에 손이 가지 쇼핑할 때마다 이것저것 따지기 힘들다.


그린카드 등 착한 소비 운동이 뿌리를 내리려면 정부와 기업, 소비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정부는 보다 많은 기업과 소비자가 동참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제도적ㆍ행정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 기업들도 사회적 책임감을 갖고 관련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켜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품목을 다양화하며 매장 수도 늘려야 한다. 소비자도 착한 소비 마인드로 관련 제품 소비를 늘리면 모두의 이익으로 연결되는 선순환이 이뤄질 것이다.

명품(名品)보다 선품(善品)이 선택되는 사회는 희망이 있다. 그렇다고 착한 소비를 못 한다고 '나쁜 소비'로 몰아가선 안 된다. 분위기에 편승해 착한 소비를 일과성 이벤트로 활용하는 것도 경계할 일이다. 착한 소비를 지속 가능하게 하려면 기업과 정부의 진정성과 소비자의 자발성이 관건이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