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설]생각을 바꿔야 '고졸 채용' 지속된다

시계아이콘01분 03초 소요

기업은행에서 불기 시작한 고졸 출신 채용 바람이 은행권 전체로 확산되고 있다. 은행연합회는 지난주 18개 은행이 오는 2013년까지 2722명의 고졸 출신을 뽑을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 해 평균 907명으로 지난 2년간의 평균 459명의 두 배 수준이다. LGㆍ포스코ㆍ삼성 등 대기업들도 고졸 기능직 사원 채용 인력을 늘리는 등 고졸 채용에 발 벗고 나서고 있다.


학력 인플레이션과 고졸 취업난 해소라는 측면에서 고졸 채용 바람이 확산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정부가 등 떠미는 식은 곤란하다. 금융사별 업무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고졸 채용을 늘리라는 건 일시적으로 고졸 채용을 늘리는 효과는 있겠지만 얼마나 지속될지 의문이다. 그런 점에서 금융위원회가 지난주 증권ㆍ보험 등 금융 관련 협회에 회원사의 고졸 채용 계획을 취합해 제출하라고 한 것은 적절하지 못한 처사다.

일부 금융사는 말만 앞세운 채 채용 시기나 인원도 정하지 못하고 있고 심지어는 채용한 뒤 무슨 일을 시켜야 할지 고민이라는 곳도 있다고 한다. 고졸 채용이 일시적 현상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뤄지기 위해서는 기업들이 필요에 따라 준비를 제대로 해서 채용하는 게 순리다. 직무 분석을 통해 고졸 인력에게 적절한 업무 분야를 가리고 연봉 수준 등 구체적 기준을 마련한 뒤 채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고졸 채용은 바람직하지만 경계해야 할 부분도 있다. 은행권의 경우 산업은행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고졸 행원은 대부분 비정규직이다. 2년이 지나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한다고 하지만 정규직에 못 미치는 대우를 받는 건 마찬가지다. 임금이나 승진에서 차별이 없어지지 않는 한 비정규직만 양산하는 결과를 낳을 우려가 있다.

고졸 채용을 정착시키려면 정부, 기업, 취업자 모두의 의식이 바뀌어야 한다. '대졸자 우대'의 그릇된 관행을 고치는 일, 고졸 취업으로도 만족할 수 있는 환경의 조성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임금과 승진에서의 차별을 개선하는 법적ㆍ제도적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과제다. 심각한 학력차별이 없어지지 않는 한 고졸 채용은 한계에 다다를 수밖에 없다. 이명박 대통령 말마따나 "대학에 가는 것보다 고등학교만 가도 취업하기 쉬운, 그런 정책"을 내놓아야 한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