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금호 '저질 타이어'로 중국에 머리 숙여

자체 조사 실시..관리자 책임 소홀 밝혀져

[아시아경제 최일권 기자] 타이어 원료인 고무 배합비율을 놓고 논란을 빚은 금호타이어가 결국 중국에서 사과성명을 발표하고 관련자들을 해임했다.


이한섭 금호타이어 중국법인장(부사장)은 지난 21일 오후 7시30분 중국 중앙방송(CCTV) 고발 프로그램인 '소비주장'에 출연해 고개 숙여 사과했다.

22일 금호타이어에 따르면 이 부사장은 이날 TV에 나와 "CCTV 보도와 관련해 소비자들에게 불편과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사과한다"면서 "톈진공장의 일부 공정에서 표준이 지켜지지 않아 자체조사를 실시했으며 관리자 책임 소홀이 밝혀져 공장장을 비롯한 일부 직원들을 해고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금호타이어는 지난 주 본사 연구 및 품질부문 담당 임원에 이어 김종호 사장이 직접 중국 현지를 방문해 생산 공정에 대해 철저 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회사 측은 일부 사내 작업 표준이 지켜지지 않은 사실과 현장 책임자들의 업무상 관리 소홀을 확인해 개선 조치를 명령했고 문제가 된 톈진 공장 생산 제품에 한해 자발적 리콜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다만 타이어의 안전성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덧붙였다. 회사 관계자는 "이번 사과는 내부 프로세스 관리 소홀에 대한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중국 CCTV는 지난 15일 금호타이어 톈진 공장이 타이어 제조 시 잔량고무(rework rubber) 사용과 관련해 '회사의 엄격한 생산 기준이 실제 생산 현장에서는 지켜지지 않고 있다'면서 '허용치보다 많은 양의 잔량 고무가 포함돼 있다'고 보도했다.


잔량 고무는 타이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성 변화가 없는 고무로, 모든 타이어 업체들은 규정에 따라 잔량고무와 원고무를 배합해 활용하고 있다.


CCTV는 타이어가 지면과 맞닿은 트레드에 잔량 고무와 새 고무의 배합비율을 1대3 으로 가져가야 하지만 금호타이어가 1대 2로 사용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금호타이어의 사과로 인해 중국 공장 재가동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금호타이어가 15일 CCTV 방송 직후 생산을 중단하면서 베이징현대의 베르나 생산에도 차질을 빚었다.


특히 베이징현대는 금호타이어에서 물량 공급이 끊긴 직후 한국타이어에 8만본의 타이어를 추가공급해줄 것으로 요청하기도 했다.


금호타이어는 이와 관련해 "공장 가동 시점을 알 수 없다"면서도 "타이어 공급을 위해 내부적으로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최일권 기자 igchoi@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최일권 기자 igchoi@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