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상하이 스캔들은 '리웨이 스캔들'의 글로벌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상하이 스캔들은 '리웨이 스캔들'의 글로벌판
AD


[아시아경제 이진수 기자] 중국 상하이(上海) 주재 한국 총영사관 영사들과 중국 여성 덩(鄧)씨의 부적절한 관계가 문제된 것이 이른바 '상하이 스캔들'이다.

파문이 일자 중국 언론과 당국도 관심을 갖기 시작해 언론은 관련 사건을 상세히 보도하고 당국은 상하이시 관료들을 대상으로 조사에 착수했다.


이런 판에 현지에서 발간되는 주간지 '차이징'(財經)은 지난달 14일자에서 '리웨이(李薇) 스캔들'을 새삼 조명한 바 있다.

'리웨이 스캔들'이란 중국 고위 관리들이 프랑스계 베트남 난민 출신인 리를 '공동 정부(情婦)'로 삼아 배후에서 막강하게 밀어줌으로써 리가 담배ㆍ부동산ㆍ광고ㆍ석유ㆍ증권 등 20여 개 기업의 소유주이자 수십억 위안의 재산가가 되도록 만든 사건이다.


리와 놀아난 고위 인물 가운데 산둥성(山東省) 공산당 서기, 윈난성(雲南省) 성장(省長), 시노펙(中石化) 회장 등이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밝혀져 충격을 던져줬다.


재미있는 것은 이들 가운데 상당수가 부패 혐의로 실형을 선고 받았으나 리는 증인 조사만 받고 멀쩡히 걸어나왔다는 점이다.


일례로 천퉁하이(陳同海) 전 시노펙 회장의 경우 2009년 7월 15일 1심에서 사형 집행유예를 선고 받았다. 사형 집행유예란 2년간 수형 과정에서 별 문제 없으면 무기징역 이하의 형으로 줄여주는 제도다.


상하이 스캔들은 '리웨이 스캔들'의 글로벌판


'차이징'의 기사는 교활한 기업가인 리가 정치권력을 주무르는 고관들을 어떻게 주물렀는지 시시콜콜 보여주고 있다.


리는 지난달 13일 형사재판도 받지 않고 무사히 풀려났다. 그가 갖고 있던 베이징 시노펙 서우촹석유투자공사(首創石油投資有限公司)의 지분 20%를 서우촹그룹(首創集團)으로 이양한다는 서류에 서명했을 뿐이다. 그가 갖고 있는 해외 자산 대다수는 무사했다.


리는 다른 정부들과 달랐다. 섹스를 권력과 맞바꾼 다른 여성 대다수는 수동적인 역할에 머물렀다. 기껏해야 일자리나 교육기회를 잡았던 것이다.


리는 '고관들의 공동 정부'라는 단순 역할에서 벗어나 정치권력이 만들어지는 '시장'을 제공했다. 고관들은 권력시장에서 내로라하는 '선수들'과 끈끈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리에 매료됐다. 그만큼 리는 다른 정부들에게선 볼 수 없는 선견지명과 추진력을 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일찌감치 리와 관계를 맺은 윈난성의 리자팅(李嘉廷) 전 성장이 부패 혐의로 법정에 선 바 있다. 이때 리는 한 사람에게 '올인'하다가는 큰 일 나겠다 싶어 거대한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는 자신의 성적인 매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많은 권력층 남성 사이에서 신뢰를 쌓았다. 이렇게 해서 긁어모은 돈은 그의 매력을 한층 배가시켰다.


'차이징'이 소개한 리의 이야기는 사실 권력층 남성들이 대중의 부(富)를 어떻게 갈취했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현재 미국에서 활동 중인 중국계 경제학자 허칭롄(何淸漣)은 이를 두고 '중국 정치권력의 상업화'라고 표현했다.


☞ 이진수기자의 글로벌핑크컬렉션 보기




이진수 기자 commun@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