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金 방석에 앉은 카다피..자산동결해도 소용 없을지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金 방석에 앉은 카다피..자산동결해도 소용 없을지도
AD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미국, 스위스, 독일, 일본 등 세계 각국이 무아마르 카다피 리비아 국가원수의 해외자산을 동결하고 있지만 금(金) 방석을 깔고 앉아 있는 카다피에게 국제 사회의 돈줄 죄기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까.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2일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 각국 중앙은행 금 보유 현황 최신 자료를 토대로 카다피 통제권 아래에 있는 리비아 중앙은행이 143.8t의 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했다.

리비아가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금 143.8t은 지금의 금 시세를 적용할 경우 65억달러 규모다. 카다피가 용병을 수년간 조달할 수 있는 충분한 자금이다. 세계 중앙은행들은 대부분 금을 런던, 뉴욕, 스위스 은행의 지하 국제 금고 안에 보관하지만 리비아는 금괴 전부를 자국 영토 안에 숨겨놓고 직접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FT는 국제사회가 카다피의 해외자산 동결을 통해 자금줄을 틀어 막는다 하더라도 엄청난 금 보유고가 카다피에 생명줄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진단했다. 물론 금을 팔아 현금화가 가능할때 얘기다. 이 때문에 트리폴리(Tripoli) 중앙은행에 보관돼 있어야 할 금괴가 차드(Chad), 니제르(Niger)와 국경선이 인접한 리비아 남부 마을 세바(Sebha)로 옮겨졌을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스탠다드 뱅크의 월터 드 웨트 원자재 담당 애널리스트는 "리비아 같은 국가가 금을 유통시키려 한다면 십중팔구 금을 무기, 음식물, 현금 등으로 바꾸기 위한 것"이라고 조언했다.


금 외에도 카다피는 석유 수출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을 자금줄로 활용하고 있다. 또 이미 리비아 중앙은행과 여타 트리폴리 인근에 있는 은행들에 측근들의 명의로 엄청난 현금을 예치해 뒀기 때문에 국제사회의 돈줄 죄기가 카다피의 세력을 약하게 하는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박선미 기자 psm82@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