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서울시, 내년 21조여원 예산안 편성..1.2%↑

[아시아경제 조영주 기자] 서울시가 내년 예산으로 올해보다 1.2%(2484억원) 늘어난 21조2853억원을 편성했다.


서울시는 10일 이같은 내용의 내년 예산안을 확정, 시의회에 승인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은 올해 추경을 포함한 최종예산에 비해서는 11.3%(2조7045억원) 감소한 것으로 자치구(2조9413억원), 교육청(2조4288억원) 지원 등을 제외하면 시의 실집행예산은 11조9407억원이다.


서울시는 "내년 우리 경제가 4.0% 내외의 실질경제성장률을 전망하고 있으나 아직은 재정지출 확대를 통한 경제 활력 회복의 재정운용기조가 필요하다고 판단,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재정의 건전성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차입을 통한 적자예산을 편성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민 한 사람이 부담할 세금은 6만원이 감소한 104만5000원이지만 한 사람에게 편성된 예산액은 151만5000원으로 올해보다 4만6000원이 증가했다.


특히 사회복지와 일자리 창출 집중 지원을 통해 완만한 활력을 되찾고 있는 경제 회복세를 굳히고 민선4기 중요사업을 마무리하는데 역점을 뒀다.


권영규 서울시 경영기획실장은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재정지출을 확대하는 재정운용기조를 유지했다"며 "16만5000여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 일자리 예산은 서울경제에 활력을 불어넣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특히 사회복지예산을 올해에 이어 최대 규모로 배분함으로써 자활 자립 중심의 서울시 복지정책에 더욱 힘을 실었다"고 말했다.


◆일자리창출예산 101% 증액..16만5000여 일자리 창출


서울시는 취약계층을 위한 일자리 지원을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지속해나가기로 했다.


일자리센터 운영을 지속하고 청년실업대책(2212명), 공공근로사업(7000명), 사회적 기업 발굴 육성(250개 기업), 희망근로 프로젝트(2만725명), 공공기관 인턴제 운영(1000명) 등 일자리 창출 및 지원에 3905억원을 배분해 16만5616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사회복지 예산 9.3% 증가..4조859억원 최대 배분


어려운 시민을 보호하기 위한 사회복지예산을 전체의 24.6%인 4조859억원으로 올해에 이어 최대 규모로 배분했다. 이는 올해보다도 9.3%(3479억원)나 증가한 것이다.


생활이 어려운 서민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희망플러스·꿈나래통장을 지속적으로 확대(2만→3만가구)하고, 긴급복지지원 및 틈새계층 특별지원을 계속하기로 했다. 서울형 어린이집 육성(2395→2800개소) 등 여성의 사회참여 지원, 장애인 노인 청소년 복지를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민선4기 중요사업 마무리..도시브랜드에도 역점


내년이 민선4기를 마무리 짓고 민선5기를 새롭게 맞이하는 중요시점이라는 전제하에 그동안 진행돼온 주요사업들의 차질 없는 추진뿐 아니라 미래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준비하는 사업들의 투자에도 소홀함이 없도록 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서울의료원 신축이전(10월) 및 양천메디컬센터 건립(7월), 이대병원부지 공원화(12월), 신재생에너지 랜드마크 조성(11월), 상상어린이공원 조성 완료(150→300개소), 경유시내버스의 천연가스버스로의 교체 완료(6655→7600대) 등 내년도 마무리 사업을 지원하게 된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426억원), 남산르네상스(415억원), 한강르네상스(1425억원), 공공관리자제도(83억원), 세운초록띠공원 조성(1500억원) 등 이미 진행 중인 주요사업에도 재원이 배분된다.


디자인산업 지원을 위해 서울디자인연구소 구축 및 운영(149억원), DDP 건립(701억원), 디자인기업펀드(25억원), 중소기업디자인지원센터 운영 및 컨설팅(41억원) 등에도 예산이 투입된다.


특히, 세계 녹색 경쟁력 선도도시 구현을 위해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88개소, 154억원), 건물에너지 이용 합리화사업(18개소, 45억원), LED 테스트베드 조성(50억원), 에코마일리지사업(25억원), 친환경전기차 구입 45대 및 인프라 구축(98억원), 서울형 GT 육성을 위한 R&D 지원(50억원) 등 미래서울의 성장동력에도 투자가 지속된다.

조영주 기자 yjch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