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보경기자
자율주행, UAM(도심항공교통) 등 6세대(G) 통신 기술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의 길이 국내에서 열렸다. 그동안 저궤도 위성통신은 일론 머스크가 주도하는 '스타링크'처럼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저궤도 위성통신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총 사업비 3199억9000만원(국비 3003억5000만원) 규모로 내년부터 2030년까지 6년 동안 진행된다.
이 사업은 6G 표준 기반의 저궤도 통신위성 2기를 발사하고 지상국, 단말국까지 포함된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시범망을 구축하는 내용이다.
저궤도 위성(고도 300~1500㎞)은 정지궤도 위성(고도 3만6000㎞)에 비해 지구에 가까워 짧은 지연시간으로 고속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현재는 스타링크처럼 막대한 자본과 기술력을 가진 글로벌 기업들이 비표준 독자 규격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저궤도 위성통신이 지상망의 한계를 넘어 해상, 공중까지 제약 없이 통신 서비스 공간을 확대할 수 있는 비지상통신망(NTN)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세계 이동통신 표준화기구인 3GPP에서도 저궤도 위성통신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2030년대에 이르면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이 표준 기반으로 본격 개화할 것으로 내다봤다. 과기정통부는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의 개발과 위성의 발사까지 통상 5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고려하면, 지금이 바로 국내 기업들이 6G 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 진입을 준비할 수 있는 적기"라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통신탑재체, 지상국, 단말국 분야에서 11개 핵심기술 확보를 추진한다. 구체적으로 저궤도 통신위성이 지구 주위를 빠르게 이동하며 통신을 제공하는 특성을 고려해 ▲ 위성 추적 및 통신 링크 형성 ▲ 위성의 움직임에 따른 신호 오류 보상 ▲ 위성 간 핸드오버 ▲ 위성 간 중계 및 트래픽 분산 등을 위한 위성 간 링크 등의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9월 비상경제장관회의를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에 대비한 위성통신 정책의 청사진으로 '위성통신 활성화 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사업은 이를 이행하기 위한 핵심 과제로, 예타를 통과하게 되면서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 자립화를 위한 여정의 첫걸음을 딛게 됐다.
류제명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우리나라가 글로벌 선도국가로서 입지가 확고한 이동통신 분야의 기술력과 개발 경험을 위성통신까지 확장한다면 우리나라도 충분히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위성통신 산업경쟁력을 높이고 우리나라의 디지털?우주 경제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자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