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CC 비행기 고장나면 70%는 해외로…한국은 '제자리 걸음'

시계아이콘00분 53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국내 저비용항공사들이 엔진 수리와 같은 중정비를 해외에 맡기는 비율이 70%가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도 최근 브리핑을 통해 "일상 정비는 자체 수행하고 중정비는 MRO 업체로 보낸다"며 "캠스는 슬롯이 제한돼 일부만 맡기고 나머지는 해외 MRO 업체로 보낸다"고 밝혔다.

막대한 비용 때문에 LCC들이 자체 정비 역량을 갖추기에는 버거운 만큼, 정부 차원에서 국내 항공 MRO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LCC 덩치 키웠지만 중정비 역량 X
FSC 아닌 이상 감당 힘들어
국내 MRO 여력 부족해 대부분 외주
정부 차원 韓MRO 육성해야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엔진 수리와 같은 중정비를 해외에 맡기는 비율이 70%가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한항공과 같은 대형항공사(FSC) 규모가 아니면 현실적으로 자체 중정비 역량을 갖추기 어려운 만큼 정부 차원에서 국내 항공기 MRO(유지·보수·정비) 산업 육성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LCC들의 해외 정비 비용은 2019년 3072억원에서 2023년 5027억원으로 63.6% 늘었다. 해외에서 정비받는 비중도 같은 기간 62.2%에서 71.1%로 증가했다. 항공기 고장이 의심될 때 10건 중 7건은 해외에서 수리하는 셈이다. 최근 10년간 LCC 업계가 커지면서 수리해야 할 항공기가 대폭 늘어났지만 국내 정비 환경은 제자리걸음이었기 때문이다.


국내 항공사 중에서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만 격납고를 보유하고, 엔진 고장 등 중대한 기체 결함을 수리할 수 있는 능력 MRO 역량을 갖췄다. LCC들은 국내외에 다른 업체에 맡기는 실정이다. 국내 MRO업체는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서비스(KAEMS·캠스) 2곳뿐이다. 규모가 커진 LCC들이 기체 중정비 해외에 맡기는 비중이 늘어나는 배경이다.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도 최근 브리핑을 통해 "일상 정비는 자체 수행하고 중정비는 MRO 업체로 보낸다"며 "캠스는 슬롯(보수공간)이 제한돼 일부만 맡기고 나머지는 해외 MRO 업체로 보낸다"고 밝혔다.


막대한 비용 때문에 LCC들이 자체 정비 역량을 갖추기에는 버거운 만큼, 정부 차원에서 국내 항공 MRO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국토부가 2021년 8월 항공 MRO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하며 올해까지 국내 MRO 정비물량 비중을 70%까지 올리겠다고 했지만 2023년까지 59%에 그쳤다. 지난해 4월에야 MRO 클러스터인 '인천공항 첨단복합항공단지' 기공식을 연 실정이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LCC들이 자체 중정비까지 갖추기에는 막대한 비용이 들고 사업모델상 효율적이지도 않다"라며 "LCC 전담 대형 항공 MRO 업체를 육성하는 등 정부 차원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설명했다.

LCC 비행기 고장나면 70%는 해외로…한국은 '제자리 걸음' 30일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충돌 폭발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유류품을 탐색하고 있다. 강진형 기자
AD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