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축구 '최악의 잔디' 논란…월드컵 진출 못하면 서울시 책임?

경기 영향 미치는 주요 변수… 2002년 히딩크 감독, ‘잔디 특별 관리’ 지시하기도

한국축구대표팀

31일 서울 상암 월드컵 경기장에서 열린 2018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지역 최종예선에서 대한민국 축구 대표팀이 이란과 0대 0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월드컵 본선 진출 여부가 다음 경기로 미뤄지게 됐다. 하지만 결과보다 당일 '최악의 잔디 상태'가 도마에 오르면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31일 대표팀의 핵심 전력인 공격수 손흥민(25.토트넘 홋스퍼)은 경기 후 "많은 찬스를 만들지 못했던 것은 분명 아쉽지만 경기력보다도 잔디가 정말 좋지 않았다"며 "이런 말까지 해도 될지 모르겠는데 잔디 상태에 화가 난다. 이런 상황에서 경기를 잘하길 바란다는 건 욕심 같지만 축구를 아는 사람들이면 잔디 상태의 중요성에 대해 알 것"이라고 했다.신태용 감독도 경기 후 인터뷰에서 "잔디가 좋은 곳에서 경기했다면 좀 더 좋은 경기력을 펼쳤을 것"이라고 아쉬움을 전하기도 했다.서울월드컵경기장의 '잔디 논란'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울리 슈틸리케 전 대표팀 감독은 지난 2015년 3월 뉴질랜드전에서 1대 0으로 승리를 거둔 후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잔디가 나빴다. 이런 상태가 몇 차례 반복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대표팀의 주장이었던 기성용(29. 스완지시티) 또한 지난 3월 중국과의 원정 경기 당시 "(중국의) 경기장은 아직 안 가봤지만, 상태는 좋다고 들었다. 어쨌든 서울월드컵경기장보다 좋을 것"이라고 했다.그렇다면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잔디는 왜 '최악'이었을까. 서울월드컵경기장을 관리하는 서울시설공단은 이번 이란전을 앞두고 잔디 상태를 끌어올리고자 약 7000만 원의 거금을 들여 그라운드의 4분의 1가량의 잔디를 교체했다. 잔디 온도를 낮추려고 대형 송풍기 8대를 24시간 가동하는 등 온갖 노력을 기울였다.하지만 이어진 무더위와 최근 잦았던 폭우, 주요 아티스트 콘서트로 인한 잦은 대관, 관리 소홀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선수들은 푹푹 파이는 잔디에서 미끄러지고 넘어지며 패스하는 데 애를 먹어야만 했다.축구 경기에서 잔디의 중요성은 거스 히딩크 감독의 일화에서 알 수 있다. 지난 2002년 월드컵에서 한국 대표팀을 4강으로 이끈 그는 잔디 상태에 대한 중요성을 각별히 강조하고 누구보다 이를 경기에 적극 활용했다. 우선 잔디 길이를 국제축구연맹이 정한 25~30㎜보다 훨씬 짧은 22㎜로 자르게 하고 경기가 펼쳐지기 전에는 늘 잔디에 물을 뿌려 달라고 축구협회에 요구했다. 잔디를 짧게 하고 습도를 높이면 마찰과 저항이 크게 줄어 볼 스피드가 빨라지게 된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이어 훈련장과 실제 경기장의 잔디 상태를 최대한 같게 해 선수들이 잔디 상태에 겪는 어려움을 최소화했다.

거스 히딩크 감독 (사진 = 아시아경제 DB)

2002년 월드컵 때 포르투갈전을 앞두고는 상대팀의 정교한 패스를 거친 잔디로 방해하려는 의도로 잔디에 물을 뿌리지 말라고 주문하기도 했다. 이탈리아와의 경기에서는 물 뿌리는 시간을 1시간 늦춰 잔디가 최대한 촉촉해지도록 한 후 공이 빨리 굴러가게 해 스피드가 주 무기였던 한국 대표팀 플레이를 유리하게 가져가기도 했다.축구계 관계자는 "상대팀인 이란도 동일한 조건에서 경기를 펼쳤지만 '한국 축구의 심장'이라 불리는 서울월드컵경기장의 6만 관중 앞에서 늘 지적된 잔디 상태를 보완하지 못한 채 준비된 경기력을 보여주지 못한 건 아쉬움이 남는다"고 했다.<center><div class="slide_frame"><input type="hidden" id="slideIframeId" value="2017090114433436258A">
</center>아시아경제 티잼 최희영 기자 nvychoi@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아시아경제 티잼 최희영 기자 nvy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