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석의 '마이웨이'…배경에는 潘총장의 '대선가도'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우리 지도부로는 좀 어렵지 않겠냐는 생각을 갖고 있다." 여당 원내사령탑인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마이웨이(My way)'를 외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는 물론 여당의 친박(친박근혜) 지도부와 각을 세우면서 여야 정치권의 판도 변화에도 미묘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현재 권력이 아닌 미래 권력을 향한 그의 잰걸음은 당내 비주류와 잇닿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향후 여당의 운명을 가름할 결정적 한 방이라는 게 정치권의 관측이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靑과 대립 비주류와 연대…무게 중심은 鄭에게= 정 원내대표는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여당 최고위원회의에 불참했다. 이날 회의는 '최순실 게이트' 파문으로 연일 내홍을 겪는 새누리당의 운명에 최대 분수령으로 꼽히는 자리였다. 유일한 비주류 최고위원인 강석호 의원은 회의 시작과 함께 "이정현 대표가 (거취에 대해) 아직 결단을 내리지 못한 것이 아쉽다"면서 사퇴 의사를 밝혔다.  강 의원의 사퇴와 함께 여당 중진의원들은 이 대표 사퇴와 김병준 총리 내정자 지명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김무성 전 대표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박 대통령의 탈당을 촉구했다. 김 전 대표는 과거 전례를 들어 대통령의 출당까지 언급하면서 당내 험악한 분위기를 대변했다.  이로써 지난 '8ㆍ9 전당대회'로 꾸려진 여당 친박 지도부는 출범 100일(9일)을 불과 이틀 앞두고 붕괴 직전의 위기에 처했다. 일각에선 분당까지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와 지도부는 꿈쩍도 하지 않았다. 당내 비주류 진영을 중심으로 거센 사퇴 압박을 받아온 이 대표는 이날 회의에서 "염치 없지만 조금만 더 시간을 달라. 국정 정상화를 위해 최소한의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사태 수습의 열쇠를 쥔 정 원내대표는 일단 당내 비주류를 향해 무게중심이 기운 것으로 관측된다. 자신을 포함한 지도부의 '물갈이'에 찬성하는 입장이다. 여권 관계자는 "이날 오전 최고위원회의에는 친박·비박(비박근혜) 의원 간의 껄끄러운 관계를 의식해 불참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정 원내대표는 지난 4일 밤 의원총회에선 신상 발언 도중 정기국회 예산안 처리와 거국중립내각 구성이 마무리되면 원내사령탑에서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어쨌거나 임기를 채우라는 여론은 없었다. 대한민국 유일의 보수정당이 최대 위기를 맞았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이 자리에서 "청와대가 원 구성을 하라며 당 상임위원장과 간사 명단까지 적어보냈다"는 사실을 공개해, 현 정권과의 관계에서 '루비콘강'을 건넜다는 평가를 들었다.  그간 이 대표와 투톱을 형성하면서 매끄러운 관계를 이어온 것과는 다소 괴리되는 상황이다. 전날 김병준 국무총리 내정자 차녀의 결혼식장에선 "이 대표에게 물러나라는 말은 못하지만 당이 처한 현실을 냉정하게 봐야 한다"고 주문하기도 했다.

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

◆'낀박' 버리고 '친박'과 차별화…대선 플랫폼인 새누리당 쇄신에 초점= 현재 그의 행보는 당내 비주류와 잇닿아 있다. 당을 허물고 전면적인 재창당에 나서자는 주장과 어느 정도 일맥상통한다. 정권 재창출의 플랫폼인 새누리당을 허물고 새로운 기반을 갖춰야 차기 대선에서 승리할 수 있다는 절박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한 꺼풀 허물을 벗겨보면 그의 진심은 뉴욕의 반기문 유엔(UN) 사무총장에게 향해 있음을 알 수 있다. 정 원내대표는 기자 시절부터 인연을 이어온 대표적인 친반(친반기문) 인사로 꼽힌다. 같은 충청 출신으로 첫 충청권 대통령 배출을 과업으로 삼아왔다. 이런 정 원내대표는 최근 "반 총장이 새누리당으로 오려고 하겠느냐"며 우려를 표명했다.  단 한 번도 여권 대선주자 1위 자리를 내주지 않은 반 총장을 중심으로 새로운 보수정권을 만든다는 시나리오가 송두리째 흔들리자 나온 반응이다. 정치권에선 최근 반 총장이 여당이 아닌 '제3지대'를 택할 것이란 관측마저 흘러나오는 상황이다.  여권 관계자는 "정 원내대표의 마이웨이는 이제 막 닻을 올렸다"면서 "어느 정도 강약을 조절하느냐에 따라 사분오열된 새누리당의 운명과 정치판의 구도가 달라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