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丁의 돌직구' 누구의 작품일까?

우병우·사드 발언으로 판 바꿔與 민생외면 책임 뒤집어써새누리선 친노·친문 배후 주장정 의장, 추미애 더민주 대표, 친노의 합작품 가능성 커

20대 첫 정기국회 개회사를 하는 정세균 국회의장

[아시아경제 오상도 기자, 김보경 기자] 정세균 국회의장의 '외통수'는 누구의 작품일까. 지난 1일 20대 첫 정기국회 개원식에서 '우병우 사태'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배치'를 거론하며 작심발언한 정 의장의 발언 배경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 의장은 '국민의 스피커'를 자처하면서 "참으로 부끄럽고 민망한 일" "국민은 혼란스러워 하고 있다"며 청와대에 일침을 가했다.정진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2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철저히 계산된 연설문"이라며 "(새누리당 의원들 중) 단 한 명도 이를 미리 파악한 의원이 없을 만큼 사전에 계획됐다"고 주장했다. 이정현 당대표도 의원총회에서 "뻔히 계산된 도발이며 예상된 피해를 다 감안한 정치 테러"라고 일갈했다. 누군가와 머리를 맞대고 만들어낸 작품이란 설명이다. 정 의장의 개회사 직후 추가경정예산안 처리와 청문회 개최로 잰걸음을 놓던 국회는 멈춰섰다. 단박에 판도 바뀌었다. 여야 협상은 공전 중이며, 추경안 의결과 대법관 인준도 미뤄진 상태다. 여당은 한 대 세게 맞은 꼴이지만, 오히려 민생 외면의 책임을 뒤집어쓰게 됐다.

정세균 국회의장

여당은 정 의장 개회사의 배후세력으로 더불어민주당의 당권을 장악한 친노(친노무현)ㆍ친문(친문재인) 세력을 지목하고 있다. 더민주에게 이번 정 의장의 작심발언은 일종의 꽃놀이패다. 추경안을 놓고 여당에 끌려 다니던 야권은 단박에 수세에서 공세로 전환했다. 1일 오후 광주를 방문한 추미애 더민주 대표는 기자들에게 "민생을 외치던 여당이 추경안을 외면하고 있다"면서 '뭣이 중헌디'라는 유행어를 언급했다. 이날 시작된 정기국회의 전선도 단박에 뒤집어졌다. 추경안ㆍ청문회 정국에서 다시 우병우 사태와 사드 배치로 국민의 관심이 돌려졌다.

추미애 더민주 대표

막전막후를 파악하기 위해선 정 의장의 최근 행보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정 의장은 지난달 29일 당선 직후 인사를 위해 의장실을 찾아온 추 대표에게 "뭔가 변화를 감지하고 있는 것 아닌가"라며 덕담을 건넸다. 대여 강경모드인 추 대표와 모종의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암시였다. 추 대표는 "앞으로 험난할텐데 도와달라"고 화답했다. 정 의장과 추 대표는 애초 라이벌이었다. 지난 2008년 6월 통합민주당 대표 선거에서 세게 부딪혔다. 추 대표는 정 의장, 친노 세력과 맞붙었다. 이때 정 의장의 '입' 노릇을 했던 사람이 지금의 윤호중 더민주 신임 정책위의장이다. 윤 의장은 지난 대선 때 문재인 후보 캠프에서 일해 친문으로도 분류된다. 윤 의장과 함께 임명된 안규백 사무총장도 정세균계이자 친문이다. 이들의 낙점은 추 대표와 정 의장의 완전한 화해는 물론 친노ㆍ친문과의 동반자 관계를 뜻한다.

윤호중 더민주 정책위의장(가운데)

아울러 과거 열린우리당 시절 빛을 발했던 친노식 정치전략으로의 회귀를 의미한다. 과거 열린우리당 시절 친노는 불리한 판에선 백병전에 나서기보다 다른 이슈를 끌어들여 단박에 형세를 뒤집는 전략을 구사했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직설화법'이 대표적이다.앞서 지난달 27일 전당대회에서 더민주 지도부는 친노ㆍ친문으로 채워졌다. 또 더민주 의원 123명 중 범친노세력은 70명이 넘는다.아울러 추 대표는 올해 21년차 정치인이다. 예전 김영삼(YS)ㆍ김대중(DJ) 전 대통령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정치 8단 정도의 내공을 품고 있다는 게 정치권의 평가다. 친노와 추 대표, 정 의장의 머리를 맞댄 상황에서 예상 밖의 강성 개회사가 돌출했고, 향후 100일간의 정기국회에선 한 치 앞을 볼 수 없는 치열한 '기싸움'이 벌어질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해석이다.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오상도 기자 sdoh@asiae.co.kr정치경제부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