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호황 끝 전망 따라 年産 1300만t 체제 조절 필요대기업 주도 물량전 가능성, 중소업계 구조조정 불가피[아시아경제 채명석 기자] ‘철근가격 분쟁’은 제강사간 치킨 게임을 유발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이번 분쟁의 또 다른 배경은 좁은 내수시장에 다수의 업체가 참여해 공급과잉을 유발시켰으며, 이로 인해 제강사내에서도 치열한 경쟁을 했기 때문으로 파악된다.철근은 범용제품이며 KS규격만 맞추면 어느 업체라도 생산할 수 있고, 실제 공사에 쓰이는데에도 아무런 상관이 없기 때문에 줄어든 고객사를 잡기 위해서는 제강사간 경쟁은 필연적이다.한국철강업계에 따르면 국내 업체의 철강 생산 능력은 2005년 1243만t → 2006년 1243만t → 2007년 1251만t → 2008년 1242만t →2009년 1252만t이며, 올해는 1300만t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된다.여기에 철근수입량도 1년여 만에 회복세를 보이며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철근 수입량(HS코드 7214201000 기준)은 2005년 86만1577t → 2006년 94만358t→ 2007년 129만200t → 2008년 149만7506t → 2009년 60만7896t을 기록한 후 올해는 1~10월 기간 동안 59만6150t에 육박하고 있다.2008년까지는 수요 물량의 부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 반면 지난해와 올해는 수익성 확보를 위해 보다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업체의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됐다.특히 국내 생산 물량이 대거 풀리기 시작한 올해 수입산 철근 양이 늘어난 것은 중국, 일본업체들이 내수시장에서 소화하지 못한 물량을 수출로 전환하면서 가격이 낮아졌고, 제강사와 건설사간 가격 갈등으로 인해 한국내 철근 가격이 상승한 점에 착안해 수입상들이 물량을 대거 구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지난 19일 제강사와 철강사간 가격 협상 타결로 일시적으로 철근 제품 가격은 상승했다. 하지만 겨울철로 접어드는 11월 이후에는 철근 경기가 비수기로 접어들기 때문에 이번에 합의한데로 가격이 강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장담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더군다나 이번 철근가격 협상에서 제강사들은 각각의 이해관계를 뚜렷이 보여주며 단합을 이뤄내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보여줬다. 즉,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 어느 정도 여력이 있는 대형 업체들이 주도하는 가격 협상에서 한국제강과 대한제강 등 중견업체들은 각자의 입장에 따라 독립적으로 철근 공급을 진행했으며, 중소업체들도 대형업체를 따라가다간 재고 증가 및 출하량 감소로 인해 회사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만큼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해 판로를 뚫어 나갔다.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결국 수급불균형을 해결해야 한다. 일단 제강사들은 내년에도 철근 수요가 올해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하는 등 과거와 같은 건설업계 호황이 당분간은 실현되지 못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러한 내수시장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연간 1300만t 규모의 철근 생산능력을 조절한다는 것이다.이를 위해 노후화 된 생산 설비와 원가가 많이 드는 설비를 폐쇄하고 4조3교대로 이뤄지고 있는 조업 방식을 개선하는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는 것이다.특히 이러한 생산 조절은 업계 공동 차원이 아닌 시장을 주도하는 소수의 업계 중심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건설사 대표인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이하 건자회)를 협상 대상자로 인정한 대로 대형 업체는 건자회와의 협상을 통해 가격을 일정 수준 보전 받는 대규모 물량구매를 하는 업체에게 그만큼 가격을 깎아주는 ‘물량할인’ 제도를 부활시켜 수요처 확보에 나섬으로써 여력이 부족한 중견·중소업체들을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방법이 진행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즉, 소량 생산을 하는 다수의 생산업계로 이뤄진 철근 시장을 대량 생산 체제를 갖춘 대형 업체 위주로 재편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생산 물량을 조절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가격 결정력을 제강업계가 다시 가져 올 수 있다는 것이다.이에 따라 내년부터 철근업계는 상대방 어느 한 쪽이 무너질 때까지 경쟁을 하는 ‘치킨 게임’과 더불어 ‘구조조정’도 함께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채명석 기자 oricms@<ⓒ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채명석 기자 oricms@<ⓒ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채명석 기자 oricms@ⓒ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