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설물가 위협하는 '기습 인상'…장바구니 부담 커졌다

시계아이콘02분 32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대상, 마요네즈 등 평균 19.1% 인상
"고환율, 기후인플레이션 탓 원가 늘어"
신선식품까지 뛰면서 밥상 물가 비상

새해 벽두부터 먹거리 가격이 요동치고 있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치솟은 환율과 원자재값 상승에 따라 국내 주요 식품사들이 줄줄이 가격 인상에 나서면서다. 민족 최대 명절인 설 연휴를 앞두고 농산물 가격까지 뜀박질하고 있다. 지난해 연말 내란 사태에서 비롯된 국정공백은 장바구니 부담을 키우는 모습이다.


8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대상은 오는 16일부터 청정원 마요네즈와 후추, 드레싱 가격을 평균 19.1% 올린다. 대형마트 기준 순후추(50g)는 3680원에서 4380원으로 19.0% 오른다. 프레시마요네즈(300g) 가격은 3100원에서 3380원으로 9.0% 인상된다. 이 밖에 드레싱류 가격도 평균 23.4% 오른다.


대상 관계자는 "국내외 원자재 가격 및 제조경비 지속 인상에 따라 불가피하게 가격을 조정하게 됐다"고 말했다.

설물가 위협하는 '기습 인상'…장바구니 부담 커졌다
AD

요리 필수품 후추부터 과자·잼·치킨까지 가격 인상

식품사의 가격 인상 릴레이는 지난해 말부터 계속되고 있다. 고환율이 이어진 데다 기후플레이션으로 수입 원재료 가격이 크게 뛰면서 더이상 버틸 수 없다는 분위기가 확산했다. 여기에 12·3 내란 사태로 촉발된 탄핵 정국은 국정 공백으로 이어지면서 정부도 속수무책이다. 지난해의 경우 정부는 주요 식품사 최고경영자(CEO)들을 불러 가격 인상 자제를 요구하고 주요 유통기업에 정부 보조금을 투입하며 물가 안정에 총력을 쏟은 바 있다.


이에 그동안 가격 인상을 자제하던 오리온은 지난달 초코 과자 등 13개 제품 가격을 평균 10.6% 인상했다. 그 결과 '초코송이'가 2800원에서 3400원으로 600원 오르고 '톡핑아몬드&그래놀라'와 '톡핑헤이즐넛&그래놀라'는 1500원에서 1600원으로 100원 인상됐다.


동서식품도 마찬가지다. 국제 원두 시세가 날뛰자 11월 인스턴트 커피와 커피믹스, 커피음료 등 제품 출고 가격을 평균 8.9% 올렸다. 이로써 맥심 모카골드 믹스 180개입(2.16㎏) 제품 가격은 인상 전 2만3700원에서 인상 후 2만5950원으로 9.5% 인상됐다.


이 외에도 동아오츠카가 주요 제품 가격을 100원 인상했다. 이에 따라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오란씨파인비타민C와 나랑드사이다는 각각 1400원에서 1500원이 됐다. 포카리스웨트 캔(240㎖)과 데미소다(250㎖) 가격도 각각 1600원에서 1700원으로 100원 인상됐다. 오뚜기는 업소용 딸기잼 가격을 최대 10% 올렸다.


대표적인 외식 메뉴인 치킨 가격도 올랐다. 푸라닭 치킨은 지난해 12월30일 바질페스타와 제너럴 핫 치킨, 파불로 치킨을 제외한 치킨 메뉴 10종 가격을 최대 1000원 올렸다. 푸라닭 치킨을 운영하는 아이더스에프앤비 관계자는 "원재료, 임대료,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수수료 등 외식 산업에서 지속적인 물가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며 "가맹점의 수익성 개선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말했다.


배추·무 가격 평년 대비 60% 급등…설 앞두고 과일값도 올라

설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에 비상이 걸린 건 주요 농산물도 마찬가지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수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배추 1포기 소매가격은 전날 기준 5318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163원)보다 68.1%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평년(3754원)과 비교해서도 41.6% 상승한 가격이다. 평년 가격은 2020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이다.


무 가격 상승세는 더욱 가파르다. 무는 1개에 3401원으로 1년 전 같은 기간(1807원)보다 88.2% 급등했고, 평년(2099원)과 비교해선 62.0% 올랐다. 이밖에 당근이 1kg에 6308원으로 전년 동기(3505원) 대비 80.0%, 같은 기간 양배추가 1포기에 6330원으로 56.2% 오르는 등 채소 가격이 줄줄이 상승하고 있다.


설물가 위협하는 '기습 인상'…장바구니 부담 커졌다

배추와 무 가격 상승은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여름철 폭염에다 추석 이후까지 늦더위가 이어지면서 농산물 생육이 부진했다. 겨울 무 주산지인 제주에 비가 자주 내린 것도 무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이에 더해 지난해 김장철 가격 안정을 위해 배추와 무의 조기 출하가 이뤄진 것도 최근 가격 상승 요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달 말 설을 앞두고 과일 가격도 강세를 보인다. 배(신고) 평균 소매가격은 10개에 4만2631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3만3681원)보다 26.6% 올랐고 평년(3만3984원)보다 25.4% 비싸다. 감귤 가격도 10개에 5053원으로 1년 전(4279원)보다 18.1% 상승했고, 평년(2942원)과 비교해선 71.8% 비싸졌다. 다만 사과(후지) 평균 소매가격은 10개에 2만6720원으로 평년(2만5467원)과 비교해선 5.0% 높은 수준이지만 지난해(2만9235원)보다는 8.6% 내렸다.


배 가격 상승은 공급량 감소가 큰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9월 고온과 집중호우로 인해 피해가 늘어나 추석 이후 수확량이 감소하며 평년 대비 생산량이 3.0% 줄었다. 고온 피해로 수확 후 폐기 비중도 늘어나 저장량이 감소했고, 설 성수기 수요에 대비해 장기저장 물량이 늘어난 점도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감귤은 여름철 폭염으로 열과(갈라짐) 피해가 컸고, 생육 부진으로 출하량이 줄었다.


다만 축산물 가격은 농산물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모습이다. 지난 7일 축산물품질평가원 축산유통정보에 따르면 한우 소갈비는 100g에 6993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7770원)보다 10.0% 내렸고, 돼지갈비는 100g에 1444원으로 1년 전(1376원)보다 4.9% 올랐다. 같은 기간 닭고기 소매가격은 1㎏에 5754원으로 0.4% 내렸고, 계란(특란 30개)은 6809원으로 2.9% 하락했다.



장바구니 물가가 치솟으면서 정부는 이르면 이번 주 물가 관리 대책을 발표할 예정이다. 주요 성수품 공급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늘리고 할인 행사를 최대 규모로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배추 가격의 안정을 위해 가용 물량을 최대한 시장에 방출하고, 수매를 잠정 중단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상황이 더 악화할 경우에 대비해 배추 수입도 고민하기로 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여름 배추 공급이 줄어 가격이 급등하자 중국에서 신선 배추를 수입하기도 했다.




임온유 기자 ioy@asiae.co.kr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