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고·르완다 평화협정 행사 중 즉석 발언
“이러다 정치 경력 끝낼 수도 있다” 농담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콩고·르완다 평화협정 체결식에서 아프리카 출신 여기자의 미모를 극찬해 눈길을 끌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미국의 중재로 테레즈 카이쾀바 와그너 콩고민주공화국 외무장관과 올리비에 은두훈기레해 르완다 외무장관이 30년 유혈 분쟁 종식을 위한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데일리비스트 등은 이날 행사 초반 백악관 대변인 캐롤라인 레빗이 콩고 출신의 기자 하리아나 베라스를 "그녀는 현재 백악관에 출입하는 유일한 아프리카 출신 기자"라고 소개했다고 전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베라스가 발언할 수 있도록 직접 자리를 내주며 옆으로 불렀다.
베라스는 "아프리카 대륙을 대표해 이 자리에 있다"며 "어제 콩고에서 비행기를 타고 왔다. 협정 발표 이후 현지에서 희망을 목격했다"고 말했다. 또한 콩고의 펠릭스 치세케디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하고 싶어 한다는 말도 덧붙였다.
베라스의 발언이 끝나자 트럼프 대통령은 "정말 아름답게 말씀하셨다. 정말 아름답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말하면 정치적으로 올바르지 않아 내 정치 경력이 끝날 수도 있다는 걸 안다"고 농담을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렇지만 캐롤라인이 말했듯 당신은 정말 아름답고, 내면은 더 아름답다. 이런 기자들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며 칭찬을 이어가며 베라스와 악수를 나눴다.
당시 현장에 있던 J.D. 밴스 부통령과 마르코 루비오 국무장관이 웃음을 지으며 그 장면을 지켜보는 모습도 카메라에 포착됐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콩고와 르완다는 르완다의 지원을 받은 M23 반군이 콩고 동부 주요 도시를 점령하며 양국 관계가 악화한 이후 갈등이 극에 달한 상태였다. 그러다 이번 협정으로 ▲영토 보전 ▲상호 존중 ▲적대 행위 금지 ▲르완다군 철수 ▲비국가 무장 단체 해체 ▲공동 안보기구 설립 등에 합의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