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말이 잘 안 나오고 어지럽다면?… 뇌가 보내는 위험 신호

시계아이콘01분 25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50대 회사원 A씨는 아침 출근 준비 중, 갑자기 손에 들고 있던 컵을 떨어뜨렸다. 말이 어눌해지고 아내의 "괜찮냐"라는 질문에 제대로 대답하지 못했다.


몇 분 뒤 증상은 사라졌고, A씨는 최근 과도한 업무 스트레스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라고 여겼다. 하지만 가족의 권유로 병원을 찾은 그는 "일과성 허혈 발작의 가능성이 크다"라는 의사의 설명과 함께 정밀검사를 받게 됐다.

말이 잘 안 나오고 어지럽다면?… 뇌가 보내는 위험 신호 일과성 허혈 발작.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AD

우리의 뇌는 혈관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이 포함된 혈액을 공급받는데 다양한 원인으로 뇌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지면(뇌출혈) 뇌세포가 손상되는데 이를 통틀어 뇌졸중이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일과성 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 TIA)은 일시적으로 혈류가 차단됐다가 곧 회복돼, 뇌 손상이 발생하기 전 증상이 사라지는 상태를 말한다. 혈관을 일시적으로 막았던 혈전이 자연스럽게 녹거나 주변 혈관이 혈류를 보완해 증상이 일시적으로 호전되는 경우다.


일과성 허혈 발작은 주로 죽상경화증이나 혈전에 의해 발생하는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질환, 흡연, 비만, 고령 등이 대표적인 위험 인자이다.


▲한쪽 팔·다리 마비 또는 저림 ▲발음이 어눌해지거나 제대로 말하기 어려움 ▲타인의 말을 이해하기 어려움 ▲한쪽으로 자꾸 넘어짐 ▲시야결손 또는 복시 ▲어지러움 등 뇌졸중과 매우 유사한 증상을 보이나 대부분 수 분에서 1시간 이내 증상이 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일과성 허혈 발작은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났다가 금세 사라져 대수롭지 않게 여겨 병원을 찾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으로 뇌혈류 공급에 이상이 생겼다는 중요한 경고 신호로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실제 뇌졸중으로 진행할 위험이 높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일과성 허혈 발작 후 3개월 이내에 약 17∼20%의 환자가 뇌졸중을 경험하며, 일반인보다 약 5배 높은 위험을 보인다. 하지만 초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약 80%는 예방이 가능하므로 신속한 병원 방문과 치료가 필수다.


환자의 증상과 함께 MRI, CT, 초음파, 혈액 검사 등을 시행해 진단하며 진단 결과에 따라 약물치료 또는 혈관조영술이나 외과적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대동병원 뇌혈관센터 최재혁 과장(신경외과 전문의)은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기본은 균형 잡힌 생활습관과 정기적인 건강검진이며, 우리 몸이 보내는 작은 신호를 결코 가볍게 넘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일시적인 어지럼증, 언어장애, 마비 등 평소와 다른 이상 증상이 나타났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 건강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심장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뇌혈관 질환의 발생 위험이 높으므로 적극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일과성 허혈 발작을 포함해 뇌혈관 질환은 예고 없이 찾아오지만, 건강한 생활습관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꾸준히 관리하고 금연과 절주, 균형 잡힌 식사와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AD

무엇보다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통해 자신의 건강 상태를 점검하고, 이상 징후가 있을 경우 조기에 대응하는 것이 뇌혈관 질환의 예방 핵심이다.




영남취재본부 김철우 기자 sooro9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6.1114:00
     송인수 "채용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송인수 "채용을 바꿔야 교육이 바뀐다"

    "출신 대학을 보고 채용하는 문화가 바뀌지 않는 한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도 없다." 송인수 교육의봄 대표는 아시아경제의 인터뷰에서 "기업이 채용할 때 지원자의 능력보다 '출신학교'를 보고 뽑기 때문에 학벌 경쟁이 벌어지고, '학벌'을 얻기 위해 사교육비 폭증이 생기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2020년 창립한 교육의봄은 대한민국 교육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학벌 없는 채용'이 핵심이라고 보고, 기업의 채용 변화에 나

  • 25.06.1114:00
     윤지관 "대학 특성화로 서열 구조 타파해야"
    윤지관 "대학 특성화로 서열 구조 타파해야"

    "대학 특성화를 통해 지방 대학을 살려야 서울 중심 대학 서열 체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윤지관 대학문제연구소 소장은 아시아경제와 만나 "서울 중심의 대학 서열 구조는 교육을 넘어 저출산의 원인이 되는 한국 사회의 근본적 문제"라고 말했다. 2014년 설립된 대학문제연구소는 대학 문제가 고등교육만이 아니라 인구, 사회불평등구조, 국민복지, 지역균형발전 문제 등 국가 의제와 맞닿아 있다는 인식 아래 해법을 연구해

  • 25.06.1114:00
     남궁지영 "정권 변해도 교육 정책은 백년가야"
    남궁지영 "정권 변해도 교육 정책은 백년가야"

    수능 응시자 3명 중 1명은 N수생인 시대다. N수생 증가는 수능 대비를 위한 사교육 증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교육 불평등 확대 등의 부작용을 낳는다는 점에서 개선되어야 할 대표적인 교육 문제로 꼽힌다. 최근 N수생 실태를 조사한 남궁지영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은 아시아경제와 인터뷰에서 "잦은 입시 정책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야말로 교육 개혁의 첫걸음"이라고 말했다. 남궁 연구위원은 "2019년 조국

  • 25.06.1015:00
     벤 넬슨 "입시, 대학 자체 기준으로 뽑아야"
    벤 넬슨 "입시, 대학 자체 기준으로 뽑아야"

    "한국의 대학 입시 제도 개혁을 위해서는 모든 대학이 '하나의 시험'으로 인재를 선발할 게 아니라, 각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에 따라 자율적으로 뽑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벤 넬슨(Ben Nelson) 미네르바 대학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아시아경제와 가진 서면 인터뷰에서 "대학별로 자체적인 입학 기준을 가져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넬슨 설립자는 대학의 인재 선발 확대가 수험생(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

  • 25.06.1015:00
     양오봉 "국가교육委 역할과 권한 강화해야"
    양오봉 "국가교육委 역할과 권한 강화해야"

    양오봉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회장(전북대 총장)은 '입시 지옥'으로 대변되는 한국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인 토론형 교육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아시아 경제 인터뷰에서 "초등학교 교육부터 대학 교육까지 지식 전달식(주입식)으로 교육이 이뤄지는 것이 문제"라고 짚으면서 "창의적이고 창조적인 교육보다는 암기, 지식 전달 위주의 교육이 아직도 개선이 안 되고 있다"고 말했다. 양 총장은

  • 25.06.1506:00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결별과 화해 반복하는 트럼프와 머스크, 재결합하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의 관계가 극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취임 초기 '브로맨스'로 불릴 정도로 가까웠던 두 사람은 극심한 갈등을 거쳐 최근 다시 화해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이들의 관계 변화는 단순한 개인적 불화를 넘어 미국 정치와 산업계 전반에 큰 파장을 미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의 관계는 2024년 대선 당시 절정에 달했다. 머스크는 트럼프 대통령을 전적으로 지원하며 선거 승리에

  • 25.06.1408:00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가 가로막은 하버드 유학…美 대학 전역으로 퍼지나

    트럼프 행정부가 하버드대학교를 겨냥한 전방위적 압박에 나서면서 전 세계 유학생들 사이에 큰 혼란이 일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중국 공산당과의 연계를 문제 삼고 있지만, 실제로는 하버드대의 진보적 성향과 반유대주의 시위에 대한 정치적 공세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몇 주간 세 차례에 걸쳐 하버드 대학교 유학생 등록을 막고 비자 발급을 취소하려 했지만, 매번 미국 연방법원의 제동에 부딪혔다. 하

  • 25.06.1109:50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국민의힘 한심, 다투는 것도 한가로워"

    강원택 서울대 정치학부 교수가 아시아경제 시사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해 "이재명 정부의 첫인사는 무난했다. 문재인 정부 첫인사보다 낫다"고 평가했다. 지난 10일 오전 10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강 교수는 "당장은 경제가 급하지만, 이 대통령이 국가의 장기 발전과 관련한 인프라를 깔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입법권이 사법권을 침해하는 듯한 모양새를 연

  • 25.06.0707:30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美 월가 새 경제용어, '타코'에 트럼프가 격분한 이유

    최근 미국 월가에서 '타코(TACO)'라는 신조어가 화제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멕시코 음식 타코가 아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오락가락하는 관세 정책을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장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 기자에게 "무례하다"며 강하게 반발한 가운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을 조롱하는 영상들이 쏟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월가의 신조어 타코는 'Trump Always Chicken

  • 25.06.0517:15
    ②박명호 교수 "이 대통령 과반 못 넘은 것 항상 유의해야"[AK라디오]
    ②박명호 교수 "이 대통령 과반 못 넘은 것 항상 유의해야"[AK라디오]

    5일 오전 9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박명호 동국대 정치학과 교수는 "이재명 대통령은 기회와 위기 요인을 동시에 갖고 있다"며 "단기보다는 중장기를 준비하는 리더십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보수의 키맨은 이준석·한동훈이 될 것"이라면서 "총선이 많이 남아 있어 국민의힘의 변화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대선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승부는 이미 결정된 선거였다. 기본적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