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보행자 중심의 안전한 교통환경 조성을 위해 스마트 횡단보도 설치를 확대한다.
시는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어린이 보호구역과 보행사고 다발 구간 횡단보도를 중심으로 총 234곳에 스마트 횡단보도를 설치했으며, 올해는 지난달까지 작전역 사거리 등 3개 교차로 주요 지점 11곳에 바닥형 보행신호등 설치를 완료했다.
또 연말까지 어린이 보호구역 내 59곳에 바닥형 보행신호등을, 83곳에 적색잔여시간 표시장치를 추가 설치해 교통 약자인 어린이들이 보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한다.
바닥형 보행신호등은 횡단보도 대기선 바닥에 발광다이오드(LED) 형태로 신호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시야가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도 직관적으로 신호를 인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 정책의 일환으로 교육부, 경찰청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전국적으로 설치가 확대되는 추세다.
적색잔여시간 표시장치는 기존에 녹색신호에서만 제공되던 남은 시간을 적색신호에도 표시해 보행자가 보다 정확하게 신호를 판단하고 대기할 수 있도록 돕는다.
지금 뜨는 뉴스
인천시 관계자는 "보행자 중심의 교통 인프라를 강화함으로써 '스몸비(스마트폰을 보며 걷는 사람)' 사고 예방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며 "교통사고 위험이 높은 지역과 어린이 보호구역을 중심으로 스마트 신호체계를 지속해서 늘려가겠다"고 밝혔다.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