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전국에서 2만6000여가가 분양에 나선다. 내달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시행을 앞두고 수도권 등 선호 입지를 중심으로 청약 수요가 선별적으로 몰릴 것이라는 전망된다.
2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이달 아파트 분양 예정 물량은 총 2만6407가구로, 전년 동월 실적(1만8969가구) 대비 약 39% 증가한 수준이다. 이 중 일반분양은 약 2만1550가구로 추정된다.
권역별로는 수도권이 1만3865가구, 지방이 1만2542가구다. 수도권은 경기 1만295가구, 서울 1865가구, 인천에는 1705가구가 공급된다.
이 중 경기권에서는 1000가구 전후의 대규모 분양이 집중됐다.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 '클러스터용인경남아너스빌' 997가구,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 '고양 장항 S1' 869가구, 평택시 장안동 '브레인시티6BL로제비앙모아엘가'1215가구 등이다. 인천에서는 서구 청라동의 '청라피크원푸르지오(B1)'가 1056가구 규모로 공급될 예정이다.
서울에서는 송파구 신천동 '잠실르엘' 한 곳만이 이달 중 분양을 앞두고 있다. '잠실 르엘'은 기존 진주아파트를 재건축한 단지로, 총 1865가구 중 219가구가 일반분양할 예정이다. 올림픽공원과 한강을 가까이 두고 있으며 잠실 일대의 생활·교통 인프라를 고루 갖춘 입지다. 분양은 이달 말로 예정됐다.
지방은 △부산 4552가구 △충북 2098가구 △대구 1419가구 △경남 1276가구 △충남 1238가구 △강원 987가구 △대전 509가구△경북 463가구 순으로 공급된다. 특히 지방 광역시에서는 경남 양산시 평산동 '양산자이파크팰리체' 842가구, 부산 해운대구 재송동 '르엘리버파크 센텀' 2070가구, 부산 강서구 강동동'에코델타시티푸르지오트레파크' 1370가구 등 대단지 분양이 예정돼있다.
시장에서는 6월 분양단지는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가 적용되지 않는 만큼 수도권 선호 단지를 중심으로 청약수요가 몰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직방 관계자는 "6월 분양시장은 수도권과 일부 광역시를 중심으로 공급이 예정된 가운데, 청약 흐름도 일정 수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특히 7월부터 시행되는 DSR 3단계 규제가 잔금대출부터 적용되지만,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이기 때문에 6월 분양 단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규제 시행 전 분양에 대한 수요자들의 선별적 관심이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시장에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관측했다. 직방 관계자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결정은 시장에 심리적인 긍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도 "중도금 등 집단대출은 대부분 분양 시점에서 금리가 확정돼 있고, 실제 대출금리에 금리 인하 효과가 반영되기까지는 시차가 존재해 유동성 측면의 체감은 제한적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청약 수요는 단기간에 급격히 확대되기보다는, 수도권 등 선호 입지를 중심으로 선별적인 흐름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했다.
한편 5월 아파트 분양시장은 지난달 28일 기준 분양 예정 물량 1만7176가구 중 1만2402가구가 분양되며 분양실적률 72%를 기록했다.
지금 뜨는 뉴스
청약 실적은 전월 대비 개선된 흐름을 보였다. 지난달 전국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은 14.8대 1로, 4월(4대 1)보다 3배 이상 높아졌다. 경기 화성시 '동탄포레파크자연앤푸르지오' 민영주택 공급분 청약 경쟁률이 75.13대 1로 가장 높은 경쟁률을 보이는 등 수도권 주요 단지들이 두 자릿수대 청약률을 기록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지은 기자 jelee042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