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밀착형 서비스 늘려
앱 고착도 높인다는 계획
"평생을 책임지는 금융 플랫폼 거듭날 것"
농협은행 애플리케이션(앱) 'NH올원뱅크'가 농협금융지주의 슈퍼앱으로 변모하고 있는 가운데 생활 밀착형 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올해 슈퍼앱 발전전략은 '일상금융'(Daily Finance)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고객 기반을 확대하고 앱에 최대한 고객들이 머무를 수 있도록 하는 데 주안점을 두는 것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농협금융지주는 최근 '2024 연차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일상금융을 올원뱅크에서 실현하기 위해 우선 전체 고객 기반을 확대한다. 또다른 뱅킹 앱인 NH스마트뱅킹 고객들을 올원뱅크로 유도할 계획이다. 또 청소년이나 개인사업자 등 신규 고객 기반을 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13일 주택담보대출 비교서비스를 새롭게 선보이며 대상 고객을 개인사업자까지 확대한 게 대표적이다.
지난해에는 올원뱅크 내에 청소년 고객의 금융습관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전용서비스 '틴즈'를 내놓은 바 있다. 또 이들이 종이통장을 꾸미는 '통꾸'에 관심이 많다는 것에 착안해 '기록통장' 서비스를 선보였다. 기록통장으로 사용할 계좌를 선택한 후 기록일정과 저축금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입금과 기록이 된다.
앱 고착도(앱을 얼마나 자주 또는 지속적으로 사용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높이기 위한 방안도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생활혜택을 늘리는 혜택 존을 만들고, 재방문을 유도하는 콘텐츠를 생산하고, 비금융 제휴사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것이다.
이 전략에 따라 지난 28일 NH올원뱅크 생활서비스가 개편됐으며 NH포인트 적립 콘텐츠 '포인트 쌓기'와 '생활혜택' 메뉴가 신설됐다. 기존 올원뱅크 앱 하단에는 홈·상품몰·마이데이터·생활+ 등 네 가지 항목만 있었는데, 개편 이후 홈·상품몰·내자산·포인트쌓기·생활혜택으로 나뉘었다. 생활+ 내에 포인트쌓기 관련 콘텐츠가 있었으나 아예 메인화면에서 언제든 들어갈 수 있게 바꾼 것이다.
재방문을 유도하는 콘텐츠로는 지난 26일 출시된 '책이음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별도 회원가입이나 회원증 없이 도서 전국 2751개 도서관 도서 대여현황과 반납예정일은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도서 검색 기능도 제공된다. 여기에 부동산·헬스케어·모빌리티 관련 서비스도 생활혜택 탭에 추가해 생활밀착형 서비스 기능을 확대했다고 농협은행은 설명했다. 농협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농축산물 공동구매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금융상품과 관련한 서비스도 빠짐없이 제공하고 있다. 올해 초 영업점 방문 없이 모든 뱅킹업무를 볼 수 있는 풀뱅킹(Full Banking)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농협금융지주 계열사인 NH투자증권, 농협카드, 농협생명, 농협손해보험, 농협캐피탈, NH저축은행의 대표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됐다.
농협금융과 농협은행은 올원뱅크를 단순 금융영역을 넘어 결혼·여행·주거·건강 등 전 생애를 아우르는 '평생 금융 플랫폼'으로 만들 계획이다. 농협금융 관계자는 "내년에는 수익성과 자산을 더욱 증대시키고 고객 가치를 극대화할 것"이라며 더 개인화된 타깃 마케팅(특정 고객을 확실하게 설정하고 마케팅하는 것)을 발전시켜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규민 기자 moh01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