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정년 보장 취소, 1940년 이후 처음
하버드, 일년 반 조사 끝에 데이터 조작 4건 적발
해당교수 억울함 호소
미국 하버드대학교가 연구 데이터 조작 논란에 휩싸인 경영대학원의 유명 교수 프란체스카 지노에 대해 종신 재직권 박탈과 면직 결정을 내렸다고 미국 주요 언론들이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하버드대가 소속 교수의 테뉴어(교수 정년보장)를 취소한 것은 미국대학교수협회(AAUP)와 미국대학협회(AAC)가 1940년 학문의 자유 보장을 목적으로 테뉴어 및 해고 관련 기준을 제정한 이후 처음이라고 교지 하버드 크림슨은 전했다.
미국의 고등교육기관에서는 교수가 일정한 심사를 거쳐 테뉴어를 부여받으면, 중대한 비위 행위나 재정 위기 등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정년까지 직위를 유지할 수 있다.
일부 대학의 경우 정년이 명시되어 있지 않아, 본인이 스스로 은퇴를 선언할 때까지 교수직을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버드대 이사회는 이달 중 열린 회의에서 지노 교수의 테뉴어 박탈과 해임을 의결했고, 해당 내용은 지난주 비공개 회의에서 경영대 교수진에게 전달됐다.
이 같은 사실은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의 공영방송 WGBH가 25일 처음 보도하며 알려졌다.
하버드대 측은 WGBH의 질의에 지노 교수의 테뉴어 철회 및 면직 사실을 확인해주었지만, 인사 관련 사안이라는 이유로 구체적인 경위를 밝히지는 않았다.
다만 테뉴어가 이처럼 철회되는 사례는 매우 이례적이며 수십 년간 없었던 일이라고 설명했다.
1978년생인 지노 교수는 2010년 하버드 경영대에 부교수로 부임해 재직해왔으며, 2018년부터 2021년까지는 '협상·조직·시장' 분야 부문장을 맡았다.
미 NBC 방송은 지노 교수의 전문 분야는 행동과학이며, 그의 대표적인 연구 주제는 '정직성'과 '윤리적 의사결정'이라고 보도했다.
지노 교수의 데이터 조작 의혹은 2021년 '데이터 콜라다'라는 블로그에서 동료 학자들과 연구자들이 문제를 제기하면서 처음 수면 위로 떠올랐다.
하버드대 경영대학원은 제보를 바탕으로 조사를 시작했고, 약 1년 반에 걸친 내부 검토 끝에 최소 4건의 논문에서 데이터 조작이 있었던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후 2023년 6월 지노 교수는 무급 휴직 처분을 받았으며, 다음 달부터는 테뉴어 취소를 위한 공식 심사 절차가 개시됐다.
지금 뜨는 뉴스
지노 교수는 자신에게 제기된 연구 부정 행위를 부인하며, 억울함을 호소하고 본인의 입장을 설명하는 웹사이트를 운영 중이다.
김민영 기자 argus@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