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3년간 회계부정을 저지른 기업이 214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에게 부과된 과징금만 772억원에 달했다.
금융감독원은 2022~2024년 총 458사에 대한 재무제표 심사·감리를 실시한 결과 214사가 제재조치를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이 중 52사에 대해 총 772억원의 과징금이 부과됐다. 또 22사가 검찰고발·통보됐다. 과징금의 경우 2019~2021년의 356억원 대비 2배 넘게 증가한 것이다.
3년간 심사대상으로 선정된 기업공개(IPO) 기업은 22사였다. 이 중 증권선물위원회로부터 중조치 이상을 받은 3사는 모두 상장이 유예됐다. 그밖에 IPO 직후 회계부정이 발견된 기업은 거래정지됐다.
또 한계기업 등 재무적 위험 기업 31사와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킨 기업 중 회계부정과 연관성이 높은 기업 12사를 심사·감리 대상으로 선정했다. 심사·감리가 완료된 36사 중 17사에 대해 조치가 부과됐다. 이 중 7건은 중조치됐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제재를 받은 기업 중 14사를 지적 사례로 공개한다. 금감원은 2011년 이후 심사·감리 지적 사례들을 공개했다. 작년부터 공개주기를 기존 연 1회에서 연 2회로 단축했다. 현재까지 총 182사의 사례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되는 내용은 주로 지난 3년간 역량을 집중한 회계 부정 유인이 높은 기업에 대한 회계위반 적발 및 조치 사례를 중심으로 구성했다. 또 회계 오류를 예방하고, 기업의 적시성 있는 재무제표 정정을 유도하는 테마심사 등의 심사 사례도 포함했다.
금감원은 "이번에 공개한 내용은 IPO 예정기업 등의 매출 부풀리기와 공사 진행률 산정 오류, 파생상품 회계처리 누락 등 다양한 지적 사례를 포함하고 있다"며 "회계실무에서 유익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지금 뜨는 뉴스
금감원은 유관기관을 통해 기업 및 감사인에게 심사·감리 주요 지적사례를 배포해 유사사례 재발 방지 및 투자자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예정이다. 또 매년 정기적으로 주요 지적사례를 공개해 지속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해 나갈 예정이다.
유현석 기자 guspow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