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병원협회, "시범사업 긍정적이나 구조적 불평등 해결해야"
대선 후보 향해 "소아의료 살릴 공약 내달라" 촉구
소아청소년병원 가운데 '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 네트워크 시범사업'에 참여한 병원이 참여하지 않은 병원에 비해 환자를 상급의료기관으로 전원하기 더 수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선에선 시범사업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구조적 불평등 해결 등 총체적 점검이 필요하단 주장도 제기됐다.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는 19일 서울 마포구 대한병원협회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소아청소년병원의 소아환자 상급의료기관 전원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하고 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 네트워크 시범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행정구역 단위가 아닌 진료권 단위로 네트워크를 재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 네트워크 시범사업이란 지역 내 소아청소년병원 등 2차병원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구축해 각급 병원이 협업해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보건복지부 사업이다. 현재 전국 20개 병원이 시범사업에 참여 중이다.
협회가 이달 1~16일 소아진료 지역협력체계 네트워크 시범사업에 참여한 병원과 참여하지 않은 병원 두 그룹으로 나눠 인식 조사를 한 결과, 시범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소아청소년병원에 근무하는 의사 202명 중 '항상 수용된다'는 응답은 1%에 그쳤다. '대체로 수용된다'는 응답이 38%, '간헐적으로 수용된다'가 43%, '거의 수용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은 18%였다.
반면 시범사업에 참여하는 소아청소년병원 20곳의 경우 '항상 수용된다'는 응답 비율은 15%, '대체로 수용된다'는 75%에 달했다. '간헐적으로 수용된다'와 '거의 수용되지 않는다'는 응답은 각각 5%였다.
복지부가 진행 중인 소아의료체계 개선 대책에 대해서는 대체로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다. 최용재 대한소아청소년병원협회 회장(의정부 튼튼어린이병원장)은 "시범사업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은 맞지만 행정구역 단위 중심으로 설정해 실제 생활 진료권 환자 수요는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며 "정책 방향에 대한 총체적인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그러면서 "시범사업 비참여 병원의 의사 61%가 '사실상 전원 불가'라고 답한 것은 사업 참여 여부에 따라 소아환자의 생존 가능성이 달라지는 구조적 불평등이 발생하고 있음을 여실히 드러냈다"고 지적했다.
이 자리에 함께한 이홍준 협회 부회장(김포 아이제일병원장)도 "소아환자의 상급의료기관 전원 문제가 시범사업을 통해 다소나마 해결돼 다행이지만 여전히 소아청소년과 진료는 위기에 놓여 있다"며 "시범사업 발전과 더불어 합리적이고 효율적으로 소아진료를 정상화할 수 있는 정책 개발과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협회는 이날 대선 후보들을 향해 소아의료체계 강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최 회장은 "소아환자 응급실 뺑뺑이 해결이 시급하다는 여론이 형성됐는데도 여전히 의료 현장에서 소아환자의 상급의료기관 전원 불가는 만성이 돼가고 있다"며 "현재까지 후보들이 밝힌 공약을 살펴보면 소아의료는 또다시 외면받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젊은 의사들이 소아청소년과에 지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최태원 기자 peaceful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