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소재 4개사, SK에코플랜트로 이관
데이터센터는 SK브로드밴드가 통합 운영
"지주사 역할 강화해 기업가치 높일 것"
SK가 반도체 소재와 인공지능(AI) 인프라 등 핵심 미래사업을 중심으로 자회사 포트폴리오 개편에 나섰다. 중복 사업을 정리하고 시너지를 극대화해 기업가치를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SK는 12일 이사회를 열고 반도체 소재 사업은 SK에코플랜트에, AI 인프라는 SK브로드밴드에 각각 이관하는 안건을 의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에 따라 SK는 자회사인 SK머티리얼즈가 보유한 반도체 소재 회사 지분을 SK에코플랜트에 넘긴다. SK트리켐(지분율 65%), SK레조낙(51%), SK머티리얼즈제이엔씨(51%)는 현물출자 방식이며, SK머티리얼즈퍼포먼스(100%)는 주식교환 방식이다.
SK에코플랜트는 지난해 반도체 리사이클링 기업 SK에어플러스, 반도체 유통사 에센코어를 자회사로 편입한 데 이어 반도체 소재 사업까지 확보하게 됐다. 회사 측은 반도체 소재, 리사이클링, 건설(EPC) 역량을 결합해 '반도체 종합 서비스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구상이다.
같은 날 SK C&C가 보유한 판교 데이터센터(30㎿ 규모)는 SK브로드밴드에 약 5000억원에 매각하기로 했다. 인수가 마무리되면 SK브로드밴드는 총 9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게 된다. SK브로드밴드는 AI·클라우드 수요 확대에 대응해 데이터센터 사업을 확대하고, 디지털 인프라 사업자로 입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지금 뜨는 뉴스
SK 관계자는 "중복 사업을 통합해 자회사 간 시너지를 키우고 지분 가치를 높이는 것이 지주사의 핵심 역할"이라며 "앞으로도 재무 건전성과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조치를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SK그룹은 지난해부터 ▲AI·반도체 중심 구조 개편 ▲에너지솔루션 내실 경영 ▲성장사업 간 시너지 강화 등을 중점 추진 중이다. 이번 포트폴리오 재편도 이 같은 전략의 연장선이라고 회사 측은 부연했다.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