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 출판문화단체, 공적 논의기구 구성 주장
대한출판문화협회장을 비롯한 몇몇 사람을 중심으로 사유화 논란을 빚는 서울국제도서전의 공공성 회복을 위해 공적 논의기구를 구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 한국출판인회의, 한국작가회의, 어린이청소년책작가연대, 전국동네책방네트워크, 문화연대 등 7개 출판문화단체는 연대 성명을 내고 "서울국제도서전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운영을 모색하기 위해 출판계의 다양한 단체와 작가단체, 서점 단체 등이 폭넓게 참여하는 공적 논의기구를 구성하자"고 주장했다.
이어 "서울국제도서전은 한 사람의 것이 아니라, 출판인·작가·서점인·독자 모두가 함께 만들어온 문화적 자산이다. 모두가 공공적 틀 안에서 도서전의 미래를 함께 건설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해결방안 일환으로 도서전의 주식회사 전환 백지화, 지분 구조 재검토, 지속 가능한 공적 지원 확대 등을 요구했다.
대한출판문화협회는 지난해 서울국제도서전에 관한 정부의 직접 지원을 놓고 문화체육관광부와 갈등을 빚던 중 지원이 불발되자 도서전을 주식회사로 전환했다.
지금 뜨는 뉴스
이러한 과정에서 주주명부 공개, 공청회 등 투명한 절차를 지키지 않았고, 몇몇 법인과 개인이 지분을 독점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현재 서울국제도서전의 지분은 대한출판문화협회, ㈜사회평론, ㈜노원문고가 각각 30%씩 보유하고 있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