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포렌식 위해 공수처 출석
"비밀번호 여전히 기억 안 나"
채상병 순직 사건과 관련해 구명로비 의혹 당사자로 지목되는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은 23일 "구명로비 의혹은 전혀 실체가 없다"고 주장했다.
이날 임 전 사단장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휴대전화 포렌식 참관을 위해 출석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공수처는 해병대 채모 상병 순직 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이다.
이날 임 전 사단장은 '오늘 포렌식 작업에서 어떤 자료가 나올 것으로 예상하냐'는 질문에 "작년 8월 포렌식에서 이미 많은 자료가 나왔고, 구명 로비 의혹과 관련해 언급된 단톡방 참가자들을 포함해 통화목록까지도 모두 수사기관에서 조사가 이뤄졌다"며 "공수처는 구명 로비가 없었다고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휴대전화 비밀번호와 관련해서는 "지금도 기억하지 못하고 있다"며 "저도 알려줄 수 없어 안타까울 뿐"이라고 덧붙였다.
임 전 사단장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대령)이 이끈 해병대 수사단의 채 상병 사건 수사 과정에 불법이 있었는지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박 대령을 강요죄로 고소한 사건도 해병대 수사단으로 이첩돼 수사 중"이라며 "박 대령이 저를 조사하기 전 김계환 사령관의 뜻이라며 '작전통제권을 육군에 넘겼기 때문에 책임이 없다'는 주장을 하지 말라고 했고, (조사 당시) 작전통제권이 없어 책임도 없다고 주장하지 못했다"고 했다.
공수처는 해병대 수사단이 임 전 사단장 등을 2023년 7월 채 상병 순직 사건의 책임자로 지목해 경찰에 넘기는 과정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대통령실·국방부 관계자들이 외압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이다.
공수처는 지난해 11월 말까지 국방부 관계자 등을 참고인 조사하는 등 수사를 이어왔으나 계엄 이후 내란 수사에 집중하기 위해 잠정 중단했다가 최근 수사를 재개했다. 공수처 관계자는 지난 22일 정례브리핑에서 "박 대령의 재판이 시작됐고, 1심 결과도 나온 상황"이라며 "수사를 아예 안 할 수 없는 상황이니 시점을 정해서 수사 관련 절차를 진행해야겠다는 수사팀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지금 뜨는 뉴스
공수처가 임 전 사단장 참관하에 휴대전화 포렌식 작업을 하는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두 번째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임 전 사단장의 휴대전화를 압수했으나 임 전 사단장이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한다고 주장해 잠금을 풀지 못해 난항을 겪었다.
염다연 기자 allsal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