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친구 시진핑 존중"…협상 낙관론 피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145%의 관세폭탄을 던진 뒤에도 "합의를 원한다"고 유화적 메시지를 보냈다. 미·중 무역 전쟁이 양보 없는 '강 대 강' 양상으로 치닫고 있지만 파국을 피하고 타협점을 찾길 원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 조치의 연장 가능성도 열어놨다.
트럼프 대통령은 10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각료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취재진과 만나 "중국과 어떤 일이 일어날지 지켜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매우 존중하고 그는 오랜 기간 진정한 의미에서 내 친구였다"며 "양국 모두에 매우 좋은 결과로 끝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에 맞서 대미 보복 조치를 선언한 중국에 상호관세율을 125%로 올렸다. 기존 펜타닐 단속 문제로 중국에 부과한 관세 20%를 더하면 대중 추가 관세율은 총 145%로 올라간다고 이날 백악관은 설명했다.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에 국가별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한 것과는 상반된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전선을 중국으로 좁히고 대중 압박 수위를 높이면서도 대화와 협상 의지를 거듭 강조하고 있다. 관세 전쟁의 표적이 중국이란 분석과 함께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2위 경제 대국인 중국과의 전면전은 피하길 원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에도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중국도 거래를 원하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른다"며 "우리는 그들의 전화를 기다리고 있다. 이뤄질 것"이라고 썼다. 지난달에는 시 주석이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미국을) 방문할 것"이라며 정상회담 가능성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한 상호관세 90일 유예 연장 여부를 묻는 말엔 "그때 어떤 일이 일어날지 봐야 한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다만 석 달 의 유예기간 동안 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당초 책정한 국가별 상호관세율이 다시 발효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금 뜨는 뉴스
아울러 그는 관세 정책의 목표는 연방정부 재정적자 감축, 세수 확보, 적자예산 문제 개선 등이라고 밝혔다.
뉴욕(미국)=권해영 특파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